멀티미디어

EBS 인문학 특강 - [신년특집] 대한민국, 행복하십니까?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EBS 인문학 특강 - [신년특집] 대한민국, 행복하십니까?

손봉호 교수님의 <대한민국, 행복하십니까?> 1부  


<대한민국, 행복하십니까?>

 

1.

 

1) 광복 70, 대한민국의 가장 중요한 성취는?

 

광복 이후 70년은 우리 민족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대, 가장 많은 변화를 거치고 가장 중요한 것을 성취한 시대이다.

많은 나라들이 부러워하는 나라로, 190개국과 국교를 맺고 거의 모든 나라와 통상하는 나라로, 상품뿐 아니라 문화를 수출하는 나라로 발전했다.

 

(1) 경제적으로 절대빈곤으로부터 탈출

 

2009OECDDAC (개발원조위원회)의 회원이 됨으로써 원조 받는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바뀐 세계 최초, 세계 유일의 나라이다.

(2) 정치적으로 민주화

공명선거 정착, 언론자유 보장, 활발한 시민사회, 법치착근으로 완전하지는 않지만 상당히 민주적인 사회로 발전했다.

 

(3) 건강, 장수 (평균수명, 여자 6, 남자 20).

(4) 세계에서 제일 낮은 문맹률.

(5) 세계 8위 정도의 기술수준.

(6) 연예, 예술, Sports 등 문화수준 향상.

 

2)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은?


과거의 국력은 인구, 영토, 자원, 군사력으로 평가됐으나, 현대의 국력은 인적 자원 (지식, 기술)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주민의 생득적 지능은 모든 사회에서 비슷하기 때문에 능력의 차이는 개발 정도의 차이에서 나온다. 그 능력 개발의 수단이 바로 교육

 

그러므로 광복 70년에 이룩한 성과는 교육의 성과이며, 한국 교육의 성공은 높은 교육열 때문이다. 또한 이는 차세중심적 세계관에서 비롯됐다.


 

季路問事鬼神 (계로문사귀신)

계로가 귀신을 섬기는 일에 대해 물었다

子曰 : 未能事人, 焉能事鬼 (자왈 : 미능사인 언능사귀)

공자가 말하길,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는데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

: 敢問死 (: 감문사)

[계로가] 묻기를, 감히 여쭙건대 죽음이란 무엇입니까?

: 未知生 焉知死 (: 미지생 언지사)

[공자가] 말하길, 아직 삶도 알지 못했는데 어찌 죽음을 알 수 있겠느냐

논어(論語)선진(先進)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신체는 부모를 통해서 받았으므로 훼손하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

성공해서 제대로 된 도리를 행하고 후세에 이름을 날려 부모님을 높여드리는 것이 효도의 마침이다 효경(孝經)

 

그러므로 이제는 우리의 상황을 인정하고 잘못된 것은 고치며, 올바른 생각, 판단으로 행복한 나라를 만들자.

 

 

<대한민국, 행복하십니까?>

 

2.

 

1) 우리는 행복한가?

 

쉘러 (Max Scheler)가 파스칼 (B. Pascal)을 인용하며 쾌락이 좋고 고통이 나쁘다는 것은 증명을 요구하지 않는다. 마음이 그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즉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최후의 목적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지금 행복하지 않다.


 

2012년 영국 레가툼 연구소는 한국인의 평균생활만족도 (Average Life Satisfaction)110 조사 대상국 가운데 104위라 발표했다.

OECD 건강 통계(Health Data)에 따르면, 2012년 한국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는 29.1명으로, 2003년 이후 10년 동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1위다.

 

2) 우리는 왜 불행한가?

 

(1) 엄청난 경쟁심

한국인의 경쟁심은 차세중심적 세계관에서 비롯됐다. 경쟁심이 강할수록 상대적 박탈감은 심해지기 때문에 경쟁심이 강한 한국인은 불행하다.

 

(2) 낮은 도덕적 수준

경쟁이 심하면 공정해야 한다. 공정하다는 것은 도덕성의 문제. 그래서 경쟁이 심한 사회는 도덕성이 강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도덕적 수준이 매우 낮다.


 

3) 어떻게 행복할 것인가?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신약성서마태복음 712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마라

논어(論語)위령공(衛靈公)

몇 사람을 항상 속일 수 있고 모든 사람을 얼마 동안 속일 수는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을 항상 속일 수는 없다 - A. Lincoln

 

非人不忍, 不忍非人 (비인불인 불인비인)

인간이 아니면 참지 못하고, 참지 못하면 인간이 아니다.

명심보감(明心寶鑑)계성(戒性)

(1) 정직하고, 공정하자.

(2) 易地思之(역지사지)하자.

 

그래서 도덕성이 갖춰진 행복한 사회, 약한 사람이 보호받는 사회를 만들자.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