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 게시판

40만원 재킷, 원가는 3만원..거품 낀 등산복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8뉴스>

등산인구가 급증하면서 아웃도어 시장이 무섭게 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웬만한 제품으로 갖춰 입으려면 100만 원 이상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정말 그렇게 비싸야 하는지 이병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북한산 진입로. 등산객들의 옷과 장비가 예전에 비해 훨씬 화려해졌습니다.

[박병회/서울 구기동 : 이게 하나의 붐이에요. 붐. (서로 어떤 브랜드 입었는지 보고 그래요?) 그럼요. 마크가 다 있잖습니까. 여기 보면 고어텍스면 고어텍스.. 이렇게 마크가 다 있잖아요.]

이런 열풍 덕분에 등산복 등 아웃도어 시장규모는 지난 10년간 4배 이상 성장했고, 제일모직까지 사업진출을 결정할 정도로 기업들에겐 신성장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정영자/아웃도어 업체 직원 : 예전에는 등산복 하면은 산에만 가는 옷이라고 많이 생각들하셨는데요.

요즘에는 여행이라든지 아니면 평상시에 활동복으로도 많이 등산복을 같이 겸용하셔서 착용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가격입니다. 왠만한 봄, 여름철용 자켓은 30~40만 원을 훌쩍 넘고, 바지도 20만 원 안팎입니다.

업체들이 너도나도 고어텍스 같은 고기능성 원단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70만 원짜리 고어텍스 등산용 자켓의 원가는 통상 25만원 수준. 이 가운데 70%인 18만원 정도가 원단 구입비로 지출되는데,

일반옷의 원단값 비중이 10-20% 정도인 것에 비하면 지나치게 높습니다.

하지만 등산 전문가들은 국내 등산 인구 천 8백만 명 가운데 고기능성 등산복이 꼭 필요한 사람은 0.5% 뿐이라고 지적합니다.

유명 메이커 업체의 과도한 유통 마진도 가격 거품의 주 요인입니다.

[이길운/등산복 업체 운영 : 이 제품 (납품) 원가가 3만 2천 원 입니다. 그런데 유명 업체에서 판매한다고 하면 35만 원에서 40만 원에 판매될 겁니다.]

유명 브랜드나 기능성에 집착하기 보다, 자신의 등산 목적에 맞게 등산복을 고르기만 해도 구입비의 절반 정도는 충분히 줄일 수 있습니다.

--------------------------------------------------------------------------------------------------------------------

등산하시는 분들 그냥 참고 하시라고 인터넷 기사 올려요.

역시 비싸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군요.. 질은 어느정도 좋겠지만, 거품이 너무 심하네요..;;

관련자료

댓글 5

이순희님의 댓글

비싼옷 비싼장비 살만한 형편이라면 사도 되겠지만
무리를 하면서 까지 살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비가 새는집 방안에서 우산을 받혀들고 우산도 없는집
걱정 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태곤님의 댓글

얼마전 같은 수련생인 친구에게 옷을 구입하는 법을 한수 배웠습니다.
알고보니 백화점에서 판매되는 의류 재고품을 창고에 보관하기 뭐해서 헐값에 파는 경우가 종종 있더군요.
그것을 발견하려면 수시로 옷가게를 지나치지 말고 아이쇼핑을 해보야 한답니다.
이번에 반바지를 만원에 샀는데, 상표는 백화점 상표가 여러개 그냥 붙어있었습니다. 정가 7만5천원!

박순철님의 댓글

대부분의 사람들이 등산복이 비싸다는 것을 알고, 같은 상표의 짝퉁을 구입하는데
디자인이나, 내구성 같은 품질이 정품과 비교해서 별로 떨어지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에 와서 짝퉁인 줄 알고도 여러 벌을 사간다는
소문이 있더라구요.

문정현님의 댓글

의류는 한국쪽이 칼라플하고 가격도 괜찮은 편이라
생각했는데....... 가격이 천차만별에 쇼핑이 더 힘들어
진거 같아요.

옛날에는 한국가면 옷을 사야지 싶었는데 이젠 유행
패턴도 이 동네와 다른거 같고...
산행길 가뭄에 콩 나듯하니까 아웃도어 품목이 단벌이랑께.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