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품격 있고 건강한 어른 되기

컨텐츠 정보

본문



품격 있고 건강한 어른 되기

20110309235839.jpg

부귀불능음(富貴不能淫), 빈천불능이(貧賤不能移), 위무불능굴(威武不能屈), 차지위대장부(此之謂大丈夫). 2300여 년 전 중국의 맹자(孟子)의 말이 머리를 맴돕니다.

“돈과 권력을 가졌으면서도 음탕하지 않은 사람, 가난하면서도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사람, 폭력 앞에서도 무릎 꿇지 않는 사람, 이런 사람이 대장부리라.”

장자연 사건, 덩신밍(鄧新明) 사건에다 어제 MBC 뉴스를 보니 몽골 주재 외교관도 현지 여성과 부적절한 관계를 가졌다고 하는군요. 권력과 부를 움켜쥔 사람들의 행태들을 보면서 이 문장이 계속 떠오르는 군요.

왜 맹자는 부귀불능음을 대장부의 덕목 중에서 가장 먼저 언급했을까요? 어쩌면 부귀불능음과 빈천불능이는 동전의 앞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는 과연 대장부인가? 온갖 유혹을 이길 수 있을까? 솔직히 100% 흔들리지 않을 자신은 없습니다.

수양(修養)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얼마 전 보건복지부의 워크숍에 참가했다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유돈식 박사로부터 ‘나이답게 사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었는데, 공감합니다. 나이보다 젊게, 동안(童顔)으로 경박하게 사는 것보다 나이에 맞게 사는 것이 훨씬 더 소중할 겁니다.

우리 사회가 구성원들이 품위 있고 건강한 어른으로 성장하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요? 공부(工夫 또는 功夫)는 문자 그대로는 ‘가장(家長)이 되는 노력’인데 결국 ‘어른이 되는 훈련’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매일 아침에 묵상을 해야겠습니다. 서예도 다시 시작해야겠습니다.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않고 작은 이익에 흔들리지 않고, 어른이 되는 훈련을 해야겠습니다. 공부를 해야겠습니다.

공부와 수양에 대한 명언들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책을 통해서 지혜를 배우고 이를 실천하면서 살면 즐겁지 아니한가? - 공자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사이불학즉태(思而不學則殆); 책만 읽고 생각하지 않으면 고루해지고, 생각만 하고 책을 읽지 않으면 위태롭게 된다 - 공자

●교육의 목적은 ‘일생을 통해 공부하는 자세를 갖게 하는 것’이다 - R M 해틴즈

●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 과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 - 르네 데카르트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공자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인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 - 공자

●학문의 길로 들어갈 때에는 이치를 궁구하는 것을 우선해야 하고, 이치를 궁구할 때에는 독서를 맨 먼저 해야 한다. 선인과 현인이 마음을 쓴 자취와 본받을 만하고 경계할 만한 선과 악이 모두 책에 있기 때문이다 - 이율곡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샘이 숨겨져 있기 때문 -생 텍쥐베리

관련자료

댓글 5

정해관님의 댓글

"사람은 죽는 날 까지 사는 법을 배운다(배워야 한다)".... 라고 세네카 선생은 강조 했답니다.
그런데 마지막 텍쥐베리 선상님의 말씀엔 이의가 있습니다(교장님께 배운 습관일지도...)
'사막이 아름답게 보이는 것은(혹은 아름답게 보일 때는..)...'이라야 논리적이지, 무슨 사막이 아름답다고 마치 사막=오아시스 라는 논리는 아닐것으로 믿슴다.(번역의 문제일듯)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