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돈 없이 베푸는 7가지 보시(無財七施)

컨텐츠 정보

본문



돈 없이 베푸는 7가지 보시(無財七施) ......모신 글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TEuanBnLnRodW1i&filename=sday4.jpg


보시 (布施)란

남에게 무엇을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1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S5qcGcudGh1bWI=&filename=1092051262211_17-1.jpg


이 보시에는 흔히 세 가지

형태의 보시가 있습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y5KUEcudGh1bWI=&filename=P1010069.JPG


보시의 3가지 유형으로...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S5qcGcudGh1bWI=&filename=tea051.jpg

법시(法施), 재시(財施), 무외시(無畏施)

를 들고 있습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x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y5qcGcudGh1bWI=&filename=mbg.jpg


여기서 법시(法施)란

진리를 모르고 무명<無明) 속에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말씀을

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OS5qcGcudGh1bWI=&filename=茶1.jpg


재시(財施)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보시의 개념으로 물질적인

것을 남에게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TAuanBnLnRodW1i&filename=연차


마지막으로 무외시(無畏施)는

다른 사람에게 정신적 불안이나

공포를 주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y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TAuSlBHLnRodW1i&filename=2004-10-04


이것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보시(布施)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2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S5KUEcudGh1bWI=&filename=2004-10-04


일반적으로 무엇을 베푼다고 할 때

거기에는 당연히

어떤 물질적인 것이 상정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S5KUEcudGh1bWI=&filename=크기변환_DSCN0590.JPG


특히 물질로 모든 것을 평가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보시하면

당연히 돈이나 물질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지요...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x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OC5KUEcudGh1bWI=&filename=DSCN1357.JPG


하지만 불교에서는 물질을 가지지 않고도


7가지의 보시를 베풀 수 있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jkxMzcxMi8wLzMuYm1wLnRodW1i&filename=떡3.bmp


그것이 바로

《재물을 갖지 않고 베푸는 일곱 가지 보시 》

라는 뜻의


무재칠시 (無財七施)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xMC5wbGFuZXQuZGF1bS5uZXQ6LzI5MTM3MTIvMC8wLmdpZi50aHVtYg==&filename=200306100196.gif


1. 안시 (眼施)

'부드럽고 편안한 눈빛으로

사람을 대하는 것'을말합니다.

부드럽고 안온한 눈빛 하나만으로도

이미 충분한 보시가 됩니다.

요즘처럼 서로가 서로를 이기고

극복해야할 경쟁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만나면 서로 첫눈에

강한 눈빛으로 상대를 제압하고자

날카롭게 반짝이는 눈 빛으로 상대를 대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2LnBsYW5ldC5kYXVtLm5ldDovMjkxMzcxMi8wLzIuanBnLnRodW1i&filename=20040220132458.jpg


이런 눈빛은 사람들에게

경쟁심을 불러일으키고


불신을 심어주며

마음을 불안하게 합니다.


그럴 때 부드럽고 편안한 눈빛으로

사람들을 대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보시가 되는 것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4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S5KUEcudGh1bWI=&filename=IMG_3461.JPG


2. 화안열색시 (和顔悅色施)

'자비롭고 미소 띤 얼굴로

사람을 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도 안시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

흔히 외국 사람들이 우리 나라 사람들을 보고

늘 싸우는 표정이라고들 하지 않습니까?

성난 표정, 그리고 무심한 표정은

사회를 삭마가하게 하고 서로간에 말없는

긴장감을 조성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x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i5qcGcudGh1bWI=&filename=Img_1479.jpg


하지만 얼굴에 화기애애하고

기쁨으로 가득한 미소를 머금은 표정은


그 자체만으로도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을 안겨주는


소중한 보시가 되는 것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i5qcGcudGh1bWI=&filename=Dsc00364.jpg


3. 언사시 (言辭施) '

공손하고 아름다운 말로 사람들을

대하는 것'을 말합니다.

말 한 마디로 천냥 빚 갚는다는

속담도 있잖아요.

우리는 늘 험악한 말들을 쉽게 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i5qcGcudGh1bWI=&filename=흑미설기.jpg


일상생활에서는 물론이거니와

인터넷 게시판이나

대화방 같은 곳에 가보면

정말 눈뜨고 못 볼 지경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y5qcGcudGh1bWI=&filename=1093914458035_DSC00004.jpg


이렇게 험악한 말이나

가시돗힌 말은 자칫 상대방과

언쟁을 일으키고

분쟁에 휘말리게 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y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y5qcGcudGh1bWI=&filename=4


언사시는 삼업 가운데

구업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y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C5qcGcudGh1bWI=&filename=1087003586707_P52600171.jpg


우리가 몸으로 짓는 열가지 업 가운데

입으로 짓는 업이 무려

네개나 된다는 점을

상기해 봐도 우리의 언어 생활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y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S5KUEcudGh1bWI=&filename=크기변환_DSCN0613.JPG


그래서 천수경에서도 첫 구가
바로 우리의 구업을 깨끗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C5qcGcudGh1bWI=&filename=若葉蔭.jpg

부드럽고 친절하며 예의바른 말 한 마디.


그것은 자신의 인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를 대하는 다른 사람에게는

따뜻한 보시행이 되는 것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x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C5qcGcudGh1bWI=&filename=ani338.jpg


4.신시 (身施)

'

예의 바르게 친절하게

사람들을 대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몸으로 베푸는

보시행으로 삼업 가운데

신업 (身業)에 해당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1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C5qcGcudGh1bWI=&filename=연차


사람을 만나면 공손한 자세로

반갑게 인사하고,


어른을 만나면 머리 숙여 인사할 줄 알고,
몸으로 남을 돕는 이런 행위들이 바로


몸으로 베푸는 보시행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C5KUEcudGh1bWI=&filename=P7270010.JPG


이렇게 공손하고 예의바른

몸가짐은 우리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훈훈한 마음을 안겨주는 보시행입니다
.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1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i5qcGcudGh1bWI=&filename=pt05.jpg


5. 심시 (心施) '

착하고 어진 마음을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마음으로

이웃들에게 베푸는 보시행으로


삼업 가운데 심업 (心業)에 해당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1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y5KUEcudGh1bWI=&filename=IMG_1178.JPG


마음 가짐을 늘 따뜻하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상대를 대한다면


우리 사회는 한결 아름다운

사회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마음을 착하게 가지고

사람을 대하는 것도

하나의 소중한 보시행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1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Ni5KUEcudGh1bWI=&filename=101_0192.JPG


6. 상좌시 (床座施)

'다른 사람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요즘 같은 때

얼마나 필요한 보시인지 모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C5KUEcudGh1bWI=&filename=P7120083.JPG


전철을 타거나 버스를 탓을 때 젊은이들이
노약자들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고


눈을 감고 자는 척 하는 광경을 자주 봅니다.


하지만 노약자에게 또는 지치고

힘든 사람에게 자리 하나를 양보하는 것도


참으로 아름다운 보시행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z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TMuanBnLnRodW1i&filename=후식과자와매실차.jpg


7. 방사시 (房舍施) '

사람을 방에 재워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요즘같이 부동산을

재산의 중요한 목록 가운데

하나로 생각하는 사회에서는

엄격히 말해서 무재칠 시라고

하기는 어려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미 있는 집에 사람을

재워 준다고 했을 때


돈 드는 일이 아니므로 무외시로

분류했다고 생각됩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x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MTEuSlBHLnRodW1i&filename=DSCN0045.JPG


특히 옛날에는 걸어 다니는

사람들이 많았으므로

길을 가다가 남의 집에

하룻밤 묵어가는 일이

많았을 것입니다.


요즘처럼 거리에 노숙자들이

많은 어려운 시절이라면


이것도 크고 아름다운

보시행이겠지요.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0LnBsYW5ldC5kYXVtLm5ldDovMzk4NzY4LzAvOC5qcGcudGh1bWI=&filename=산찔레꽃2.jpg


이상한 물질를 가지지 않고도

남을 위해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보시행입니다.

어쩌면 요즘처럼 물질적으로

풍요한 사회에서는 이같이

무재칠시가 오히려 더 의미있는

보시행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pcp_download.php?fhandle=M2dHNmNAZnMyLnBsYW5ldC5kYXVtLm5ldDovTUlHUkFUSU9OLzAvMS5qcGcudGh1bWI=&filename=1.jpg


사회를 아름답고 정이 넘치는

공간으로 만드는데 있어

이 보다 더 좋은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관련자료

댓글 8

김동운님의 댓글

무재7시의 시행은 인격 완성의 표본이 되겠습니다.
꼭 필요할 때마다 좋은 자료를 찾아주시는 해관 아우님께 경의를 표합니다.

정해관님의 댓글

사실 우리 민족에게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부터 거슬려 올라가면 1,600여년이 흘렀고 통일신라와 고려의 국교가 불교였으니, 말하자면 우리민족의 DNA속에는 불교문화와 사상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입니다.

최근 천복궁에 놀라운 변화 중의 하나로 마치 불교가 형제의 종교임을 실감케 한 바 있는데, 초종교 초교파를 지향하는 우리의 정서에 비추어 불교든 이슬람교든 기회가 있을 때 관심가지고 살펴봄도 무의미한 일은 아니리라 생각 합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