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간암 환자도 희망을 품을 권리가 있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 |
말기 간암 환자도 희망을 품을 권리가 있다 |
어제는 간(肝)의 날이었습니다. 10월엔 간과 관련한 참 많은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간은 예로부터 간담상조(肝膽相照, 아주 친한 사이), 간담초월(肝膽楚越, 가까이 있지만 서로 등을 지는 사이),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줏대가 없다), 애간장을 태우다(몹시 초조하고 안타까워서 속을 태우다) 등 고사성어(故事成語)와 속담(俗談)에 많이 인용된 장기였습니다. 늘 떠올리는 신체부위였기 때문이 아닐까요?
간과 관련한 병은 참 많은 사람의 애간장을 태우고 끓여왔습니다. 그러나 하나씩 하나씩 풀리고 있습니다. B형 간염 백신이 개발돼 간염, 간경변증, 간암의 발병 위험이 줄었고 B형 간염 치료제가 잇따라 나와서 만성간염이 발병하면 ‘끝장’인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습니다.
간암이 생겨도 초기라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치유할 수 있습니다. 내과적 방법이나 수술로 생명과 건강을 되찾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세상을 떠야 했지요. 탁월한 치료제가 나왔지만 허가가 늦어지고 초기에 보험이 안 돼 보통 사람들에겐 ‘그림의 떡’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약을 처방받지 못해 애간장을 끓였습니다.
아마 요즘에는 말기 간암 환자들이 그렇게 애간장을 태우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환자의 생명을 의미 있게 연장시키는 약이 나왔지만 보험 혜택을 못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언론에 따르면 전재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남편도 2년 전 말기 간암으로 진단돼 이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 전장관이 남편의 병인데도 보험 적용을 밀어붙이지 못하는 것은 보험재정 때문일 겁니다.
남편의 처지를 생생히 지켜보면서도 ‘나라 곳간’을 생각해야 했던 그 안타까운 심정,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장관의 남편은 어떡하든 그 약을 처방받을 여유를 찾을 겁니다.
서민 환자들은 치료받고 싶어도 한 달 300만원이 넘는 약값 때문에 눈물만 삼켜야 합니다. 말기 간암 환자의 상당수가 한창 일할 나이인 40, 50대 가장입니다. 일을 그만 둔 상태여서 치료비에 한숨을 쉴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현재 개발된 약이나 임상시험 중인 약이 간암을 획기적으로 완치시킬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간암 환자도 다른 암 환자처럼 생명을 연장하고 고통을 줄이는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희망을 품을 권리가 있습니다.
‘간의 날’을 하루 앞둔 19일 강윤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은 국정감사 자리에서 추미애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응답하며 “복지부가 말기 간암 치료제를 보험 적용하는 것에 대해 검토 중” 이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곳간을 덜 비우고도 가난한 환자를 도울 방법은 분명 있을 겁니다. 이른 시간에 더 이상 ‘치료차별’로 애간장을 끓이고, 태우는 환자가 없게 되기를 기원합니다.
말기 간암 환자도 희망을 품고 암과 싸울 권리가 있습니다.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