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견 이야기 ....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어제 영화 한편을 티비에서 보았습니다.
시부야 하치코 - 진돗개 이야기를 주제로
미국에서 만든 작품을 보았습니다.
개가 주인공인 하치 !!~~
동경대학 음악교수인 주인을 출, 퇴근때
역까지 동행하는 애완견이었습니다.
영리하고 주인의 사랑을 듬뿍 받으면서
가족처럼 생활하는 복 많은 하치는
주인이 사랑해 주는 이상으로.....
사랑 받을 수 있는 조건을 다 충족 시켰습니다.
퇴근해서 오는 5시를 맞춰서 어김없이 문을 열고
역으로 향합니다.
역 주변의 상인들이 모두 기억을 하고 하치의
등장을 고대하네요.
어느날 주인이 강의실에서 수업하던 중
쓰러져서 그대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하치는 언제나 처럼 그 자리를 지킵니다.
외동딸이 결혼을 했고 어머니는 그 집에서 이사를
했습니다. 하치를 딸이 키우려고 데려갔습니다.
하치는 철도길을 따라서 옛날 주인이 살던 집쪽으로
갑니다. 아! 주인이 바뀌었음을 알고 집으로는
가지 않습니다.
딸이 다시 데려 갔지만 높은 대문을 바라보는 하치가
더 이상 이 집에 머물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문을 열어 주었습니다. - 사요나라 하치-
.
.
이제 하치의 집이 역앞 광장이 되었습니다.
주변 상인들이 먹이를 줍니다.
얼마나 얼마나 기다려도 주인은 오지를 않습니다.
어느날 남편의 무덤을 찾은 아내는 역 광장 그 자리에
동상 처럼 앉아 있는 하치와 오랜만에 해후를 합니다.
.
.
그렇게 9년이란 세월을 플랫폼을 바라보면서 비가오나
눈이오나 주인의 모습을 기다립니다. (1925년-1934년)
.
.
신문에 알려지면서 유명세를 얻고 주인에게 충복이라는
훈장으로 하치공이라는 예우를 받았다는 실화였습니다.
매일 생활하는 시부야역의 하치코 광장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관련자료
김미화님의 댓글
역에서 내려 에리까외회장님이 안내해주는대로 나갔더니
아들 나이 또래의 젊은이들이 너무나 꽉 들어차 있어 도무지 아들을 찾을수 없어 핸드폰으로 겨우 만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저는 하치코상이라해서 큰 동상이 서있는 공원으로 알고 갔더니 조그마한 개 한마리의 동상이 있어서 조금은 실망도 했으나 그 하치코에 얽힌 사연을 듣고보니 정말 귀한 동상인걸 알게 되었군요
우리도 집에서 애완견을 기르고있습니다 아이들 등살에 못이겨 큰아들이 처음직장나가더니 제일먼저 독일산 슈나우져라는 애완견을 15일밖에 안되었다고 사와서는 지가 알아서 다 하니까 걱정마라고 큰소리 치더니 새벽에 나가 저녁늦게 들어와서 무슨 개밥을주고 목욕을 시켜요 말짱 거짓말 !
결국은 엄마차지! 저는 개를 무척이나 싫어했는데 할수없이 살아있는생명이라 밥을안줄수없고 똥오줌을 안치울수 없다보니 밥주는 엄마를 그렇게 따를수가없더군요
큰아들은 강아지를 사다놓고 직장나가서 부모님 점심드셨나 전화한번 없던녀석이 강아지 밥잘먹고 잘있는냐고 수시로 집으로 전화해서 얄미운적도 있었죠?
지금 그개가 8년차 이제 없어서는 안될 가족이 되어 온집안식구들의 사랑을 받으며 충성을다하고 있습니다
현석이도 무척 보고싶어할것입니다
가장 엄마를 잘 따라 어딜갔다오면 목에까지 기어올라 한번 쓰다듬어줘야 떨어지는 효녀이죠?
암놈순종이라 인물값하는 아가씨? 블랙앤 화이트라 하얀 눈썹과 코수염이 우아한 자태를뽐내며 식구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있어요
하치코에 얽힌사연 듣다보니 오늘 말복이라서인지 충견얘기가 홈을 장식하게 되군요
저는 아직도 개요리를 먹어보지않아서인지 조금 터부시하고 있습니다만 집에서 개를 기르는사람은 더 못먹을것 같던데 모르겠네요? 그러나 환자에게는 더없는 보양식이라고는 하는데....?
정현씨! 고맙습니다
더운여름 건강 유의하시고 좋은글 또 부탁할께요
문정현님의 댓글
시부야 하치코 모습은 최신 모습으로 찍어서
올리겠습니다.
주인이 개를 자식 거두듯 사랑했지요.
어쩌면 애인 처럼 .....
신기하게 시간 맞춰 나오는 그 모습이
놀랍고 고마워서리.
열심히 샤워해 주고 목욕탕도 같이 풍덩
들어가고...
아름다운 공원 나들이 같이 하고
열심히 이야기 나눠 주고....
주인도 하치도 심정세계가 통한듯 합니다.
영양탕으로 이름을 바꿔서 한국인의 여름 별미로
챙겨 드시는 별미..........
일본 만화에서 한국이 원시적이라고 표현한 걸
보고 어릴때 딸애가 한국가면 꼭 맛을 보여달라고.
소도 먹고 돼지도 먹는데....
왜 개 먹으면 비하하냐는 투였어요.
그려!~ 말 않고 그냥 고깃국이라고 먹어면
엄청 맛있다니까... 이랬습니다.
아직 실천에 옮기지는 못했지만 ...
정해관님의 댓글
오수개(獒樹-)는 불이 난 것을 모르고 잠든 주인을 구했다는 개이다. 고려 시대의 문인 최자(崔滋)가 1230년에 쓴 《보한집》(補閑集)에 그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려시대 거령현(오늘날의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에 살던 김개인(金蓋仁)은 충직하고 총명한 개를 기르고 있었다. 어느날 동네 잔치를 다녀오던 김개인이 술에 취해 오늘날 상리(上里)부근의 풀밭에 잠들었는데, 때마침 들불이 일어나 김개인이 누워있는 곳까지 불이 번졌다. 불이 계속 번져오는데도 김개인이 알아차리지 못하고 잠에서 깨어나지 않자, 그가 기르던 개가 근처 개울에 뛰어들어 몸을 적신 다음 들불위를 뒹굴어 불을 끄려 했다. 들불이 주인에게 닿지 않도록 여러차례 이런 짓을 반복한 끝에, 개는 죽고 말았으나 김개인을 살렸다고 한다. 김개인은 잠에서 깨어나 개가 자신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바쳤음을 알고, 몹시 슬퍼하며 개의 주검을 묻어주고 자신의 지팡이를 꽂았다고 한다. 나중에 이 지팡이가 실제 나무로 자라났다고 한다. 훗날 '개 오'(獒)자와 '나무 수'(樹)를 합하여 이 고장의 이름을 '오수'(獒樹)라고 부르게 되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