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더위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삼복더위




이더분날에 무신~~^^
더분날 함웃으면~더더분가 ㅋㅋ

관련자료
댓글 7 개
정해관님의 댓글
북창이 밝다커늘 (임 제)
북창이 밝다커늘 우장 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비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주제:임을 사랑하고 있는 마음 (한우가)
임제(1549-1587, 백호, 겸재)
본관 나주. 조선 선조 때 시인
1575년 탕음부(蕩陰賦)와 유독시(留犢詩)로 진사 3등급에, 1576년에 대과 급제. 아부하지 않는 천성으로 인해 벼슬운은 없었으나 당파 싸움을 개탄, 명산을 찾아 시문을 즐기며 호방하게 즐기다 37세에 요절함. 문집으로는 [백호집], [수성지(愁城誌)],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花史] 등이 있다. 백호임제선생시비 묘가 전남 나주시에 있다.
북쪽 창문이 밝고 날씨가 맑다 해서 비옷 없이 길을 나섰더니
산 넘을 때는 눈비(기생 한우를 의미함)를 만나
몸이 젖었으니 오늘 밤은 언 몸 그대로 그냥 자야겠구나.
임제는 한우와 교분을 가졌는데 짐짓 한우를 사랑하는 뜻의 시조를 읊어 마음을 떠본 다음 한우의 애심을 자극하는 역작용의 효과를 얻어냈다. 길 떠날 때 맑던 날씨가 한우를 찾아오는 동안 눈비를 맞을 만큼 고행이 심했으니 그만큼 한우를 사랑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데도 불구하고 언뜻 보기에는 찬비의 피해를 입었으니 그를 원망하고 멀리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으로 보여진다.
북창이 밝다커늘 우장 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비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주제:임을 사랑하고 있는 마음 (한우가)
임제(1549-1587, 백호, 겸재)
본관 나주. 조선 선조 때 시인
1575년 탕음부(蕩陰賦)와 유독시(留犢詩)로 진사 3등급에, 1576년에 대과 급제. 아부하지 않는 천성으로 인해 벼슬운은 없었으나 당파 싸움을 개탄, 명산을 찾아 시문을 즐기며 호방하게 즐기다 37세에 요절함. 문집으로는 [백호집], [수성지(愁城誌)],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花史] 등이 있다. 백호임제선생시비 묘가 전남 나주시에 있다.
북쪽 창문이 밝고 날씨가 맑다 해서 비옷 없이 길을 나섰더니
산 넘을 때는 눈비(기생 한우를 의미함)를 만나
몸이 젖었으니 오늘 밤은 언 몸 그대로 그냥 자야겠구나.
임제는 한우와 교분을 가졌는데 짐짓 한우를 사랑하는 뜻의 시조를 읊어 마음을 떠본 다음 한우의 애심을 자극하는 역작용의 효과를 얻어냈다. 길 떠날 때 맑던 날씨가 한우를 찾아오는 동안 눈비를 맞을 만큼 고행이 심했으니 그만큼 한우를 사랑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데도 불구하고 언뜻 보기에는 찬비의 피해를 입었으니 그를 원망하고 멀리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으로 보여진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