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길상사 이야기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1254F9174A0FEBE7D5770C

성수기 시즌이 되다 보니 홈에 얼굴 내 밀기가 ...거시기 허네욤^^

잠시 읽어본 내용인데 인상 깊어 퍼다 올려 봅니다~~~

관련자료

댓글 6

박신자님의 댓글

김영한님은 1999년 83세로 서방 정토세계로 떠난 정말 멋진 여인~
1000억의 재산을 기부하면서도 "그분의 시 한줄만도 못해" 했다던 여인..
KIST에도 100억 부동산을 유언장과 함께 보낸 사실이...
진작에 우리 참부님을 만났어야 할 분이 아니였나? 하는
생각을 잠시..해 보았네요~~~
백석시인의 생일인 7월1일은 어김없이 단식을 하며 수행을 한 일편단심 민들래..

이존형님의 댓글

길상사에 대해서 좋은 공부 많이 하고 갑니다.
사람이란 어디서 무슨 업을 어떻게 하였든
목적이 선한 곳을 향해서 있다면
축복이 함께하고 자비의 마음이 가득하면
후세에도 선덕을 기려서 축복으로 남아지는 것을 잘 배우고 갑니다.

조항삼님의 댓글

일은 축복이며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힘이다.
현재 일에 즐거움을 느낄 수 없다면 다른 일을 찾아라.
최선을 다했다는 생각을 갖고 생을 마감할 수 있도록
타고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일에 종사해라.
즐겁게 할 수 있는 일, 원하는 일에 인생을 투자해라.
모든 정신, 에너지, 야망, 타고난 능력을 거기에 쏟아 부어라.
그러면 성공은 저절로 따른다.

정해관님의 댓글

흰 바람 벽이 있어 ---백석

오늘 저녁 이 좁다란 방의 흰 바람벽에
어쩐지 쓸쓸한 것만이 오고 간다
이 흰 바람벽에
희미한 十五燭 전등이 지치운 불빛을 내어던지고
때글은 다 낡은 무명샷쯔가 어두운 그림자를 쉬이고
그리고 또 달디단 따끈한 감주나 한잔 먹고 싶다고 생각하는
내 가지가지 외로운 생각이 헤매인다
그런데 이것은 또 어인 일인가
이 흰 바람벽에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있다
내 가난한 늙은 어머니가
이렇게 시퍼러둥둥하니 추운 날인데 차디찬 물에 손을 담그고
무이며 배추를 씻고 있다.
또 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내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느 먼 앞대 조용한 개포가의 나즈막한 집에서
그의 지아비와 마조 앉아 대구국을 끓여놓고 저녁을 먹는다
벌써 어린것도 생겨서 옆에 끼고 저녁을 먹는다
그런데 또 이즈막하야 어늬 사이엔가
이 흰 바람벽엔
내 쓸쓸한 얼골을 쳐다보며
이러한 글자들이 지나간다
――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어가도록 태어났다
그리고 이 세상을 살어가는데
내 가슴은 너무도 많이 뜨거운 것으로 호젓한 것으로
사랑으로 슬픔으로 가득찬다
그리고 이번에는 나를 위로하는 듯이 나를 울력하는 듯이
눈질을 하며 주먹질을 하며 이런 글자들이 지나간다
――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초생달과 바구지꽃과 짝새와 당나귀가 그러하듯이
그리고 또 '프랑시쓰 쨈'과 도연명과 '라이넬 마리아 릴케'가 그러하듯이

백석(白石 또는 白奭, 1912년 7월 1일 ~ 1995년 1월 경)은 북조선의 시인이다. 본명은 백기행(白夔行)이다.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1936년 시집 《사슴》으로 문단에 데뷔하였다. 이후 50여 편의 작품을 더 발표했으나 시집은 더 이상 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품에 특유의 평안도 사투리를 구사하기를 즐겼으나 분단 이후 북조선의 방언 억제 정책으로 말미암아 많은 활동을 하지 못했다. 백석은 한국과 만주 일대를 유랑하며 많은 작품을 지었다. 그의 시에는 한국 민족의 공동체적 친근성에 기반을 둔 고향에 대한 인식이 잘 드러난다. 그는 이를 토대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는 한국 민족의 삶의 모습을 노래했다. 그가 남긴 여러 편의 기행시에서도 그의 고향 인식은 일제 강점기를 살아가는 한국 민중의 삶을 형상화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남한에서는 북조선 시인이라는 이유로 백석 시의 출판이 금지되었으나 1987년 처음으로 그의 작품이 소개된 이후 많은 재평가를 받고 있다. 특유의 평북 사투리와 사라져가는 옛것을 소재로 삼아 특유의 향토주의 정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뚜렷한 자기 관조로 한국 모더니즘의 또다른 측면을 개척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1963년경 협동농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남한에는 알려져 있었으나 그가 1995년까지 생존해 있었다는 사실이 최근 들어 알려졌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