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전국적인 장마가 시작됩니다

컨텐츠 정보

본문

download.blog?fhandle=MEVpS0dAZnM0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zIuZ2lmLnRodW1i&filename=32.gif

가루비 - 가루처럼 포슬포슬 내리는 비.
잔 비 - 가늘고 잘게 내리는 비.
실 비 - 실처럼 가늘게, 길게 금을 그으며 내리는 비.
싸락비 - 싸래기처럼 포슬포슬 내리는 비.
날 비 - 놋날(돗자리를 칠 때 날실로 쓰는 노끈)처럼 가늘게 비끼며 내리는 비.


download.blog?fhandle=MEVpS0dAZnM0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zMuZ2lmLnRodW1i&filename=33.gif

발 비 - 빗발이 보이도록 굵게 내리는 비.
작달비 - 굵고 세차게 퍼붓는 비.
달구비 - 달구(땅을 다지는 데 쓰이는 쇳덩이나 둥근 나무 토막)로 짓누르듯 거세게 내리는 비.
여우비 - 맑은 날에 잠깐 뿌리는 비.
먼지잼 - 먼지나 잠재울 정도로 아주 조금 내리는 비.


download.blog?fhandle=MEVpS0dAZnM1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zAuZ2lmLnRodW1i&filename=30.gif

개부심 - 장마로 홍수가 진 후에 한동안 멎었다가 다시 내려, 진흙을 씻어 내는 비.
바람비 - 바람이 불면서 내리는 비.
도둑비 - 예기치 않게 밤에 몰래 살짝 내린 비.
누 리 - 우박.
궂은비 - 오래 오래 오는 비.


download.blog?fhandle=MEVpS0dAZnM1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zEuZ2lmLnRodW1i&filename=31.gif

보름치 - 음력 보름 무렵에 내리는 비나 눈.
그믐치 - 음력 그믐께에 내리는 비나 눈.
웃 비 - 비가 다 그치지는 않고, 한창 내리다가 잠시 그친 비.
해 비 - 한쪽에서 해가 비치면서 내리는 비.
꿀 비 - 농사짓기에 적합하게 내리는 비.


download.blog?fhandle=MEVpS0dAZnM2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zUuZ2lmLnRodW1i&filename=35.gif

단 비 - 꼭 필요할 때에 알맞게 내리는 비.
목 비 - 모낼 무렵에 한목 오는 비.
못 비 - 모를 다 낼 만큼 흡족하게 오는 비.
약 비 - 요긴한 때에 내리는 비.
모다깃비 - 뭇매를 치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


download.blog?fhandle=MEVpS0dAZnM2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zYuZ2lmLnRodW1i&filename=36.gif

우레비 - 우레가 치면서 내리는 비.
마른비 - 땅에 닿기도 전에 증발되어 버리는 비
오란비 - 장마의 옛말
건들장마 - 초가을에 비가 내리다가 개고, 또 내리다가 개곤 하는 장마.
일 비 - 봄비. 봄에는 할 일이 많기 때문에 비가 와도 일을 한다는 뜻으로 쓰는 말.


download.blog?fhandle=MEVpS0dAZnM3LmJsb2cuZGF1bS5uZXQ6L0lNQUdFLzAvMjcuZ2lmLnRodW1i&filename=27.gif

잠 비 - 여름비. 여름에는 바쁜 일이 없어 비가 오면 낮잠을 자기 뜻으로 쓰는 말.
떡 비 - 가을비. 가을걷이가 끝나 떡을 해 먹으면서 여유 있게 쉴 수 있다는 뜻으로 쓰는 말.
술 비 - 겨울비. 농한기라 술을 마시면서 놀기 좋다는 뜻으로 쓰는 말.
비 꽃 - 비 한 방울 한 방울. 비가 시작될 때 몇 방울 떨어지는 비.

관련자료

댓글 11

정해관님의 댓글

존경해 마지않는 양성 李公님 두분! (전주 이공님-옥용회장님도 물론 존경하지요)
매우 반갑고 감사 합니다. 그 동안 어찌보면 메아리 없는 웨침으로 적적하기도 했었는데, 그래서
까이꺼 아무도 모르는듯하니 맘껏 큰 소리나 쳐 보자고 혼자서 떠들었는데, 이제부터는 한번 더
살펴보고 조용히 말해야 될듯 싶습니다. 많이 깨우쳐 주시기 바랍니다.
남의 잔치집에서? 쥔 노릇 하는 기분이네요. 이것도 다방향 커뮤니케이션 ??? 시대!

이옥용님의 댓글

雨(비)가 이렇게 많은 줄 몰랐습니다. 아는 것 만큼 모르는 것이 많다드니 끝이 없을것 같습니다.
댓글도 더욱 풍미롭게 합니다.
그림도 곁들어 잘 보았습니다.

이인규님의 댓글

얼마전에 비가 하나 더 추가 되었습니다. 이름하여 참비지요. 참을 좋아 하는 동네에서 추가했습니다.
그리고 나이 100세는 기이지수(期頥之壽)라고 합니다. 99세 백수는 쉽게 말해도 100세 기이지수는 거의 쓰지않고 있습니다만 머지 않아 많이 들 쓸것 같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모두 기이지수 잔치를 하실 것으로 믿습니다.

이판기님의 댓글

비에 저렇게 많은 이름이 있었는지 耳順을 훌쩍 넘긴 나이에도 몰랐습니다.
공자의 자서전을 原典으로한 나이명은 從心까지이며 그 이후는 순전히 한자의 모양을 빗대 붙인 이름이지요
77세=喜는 기쁨인데 七을 3개 붙여 쓰기도함. 80세=傘은 우산인데 글자속에 八과 十이 숨어있고, 88세=米는 쌀인데 2개의 八과 중앙에 十이 있고, 90세=卒은 九에 十을 붙여 쓰며, 99세=百에서 한살(一)이 모자라 白이 되었으니 재미있지요?

고종우님의 댓글


^^백세는 百壽 이지요.^^우리는 귀가 순해진다는 耳順 을 넘나드니 ,
나이의 깊은뜻을 헤아리신 공자님도 감사하고
다시 수업할기회 를 베풀어 주신 정 총장님도 감사 하고,

정해관님의 댓글

子曰 吾 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오 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고, (인생의좌표가 섬)

마흔에는 인생관이 확립되어 마음에 혼란(유혹)이 없고,

五十而知天命하고 六十而耳順하고 七十而從心所欲하야 不踰矩니라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

● 쉰에는 천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고, 예순에는 어떠한 말을 들어도 그 이치를 깨달아 저절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일흔에는 내 마음 대로 행동을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는 일이없었다. (도통한 경지다.)

☞ 공자가 그의 일생을 회고한 글로 가장 짧은 자서전이다. 나이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나이를 나타내는 말: (1) 10세 - 沖年(충년) (2) 15세 - 志學(지학) (3) 20세 - 弱冠(약관)

(4) 30세 - 而立(이립) (5) 40세 - 不惑(불혹) (6) 50세 - 知天命(지천명) (7) 60세 - 耳順(이순) (8) 70세 - 古稀(고희), 從心(종심) (9) 77세 - 喜壽(희수) (10) 80세 - 傘壽(산수) (11) 88세 - 米壽(미수) (12) 90세 - 卒壽(졸수) (13) 99세 - 白壽(백수 )




문정현님의 댓글

일본 언니들이 장화를 함께 준비하자고 해서
덜렁 대답을 했지요.

배달 되어온 장화는 얼마나 무거운지...
신어보지도 못한 군화를 생각하게 했답니다.

아니!` 이걸 우야노 !~
내색도 못하고 태풍이 몰아치고 눈물비가
폭포처럼 쏟아지는 날에는 도움이 되려나...
바라만 보는 장화가 배란다에서 나를 바라봅니다.

오늘은 감실거리는 비니까 넌 안돼!~
아직도 도움줄 여유가 없넹 !~
한번은 신을 수 있으려나 !!~

우산을 쓸 수도 안 쓸 수도 없는 애매한 비는
뭐라고 해야할까요?
심술비를 피해서 귀가합니다 !!~~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