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귀천 외 --황광현님께!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귀천(歸天) - 오현명

<!-BY_DAUM-><!-BY_DAUM->

23021256_570x742.jpg


귀천(歸天) ....

천상병 詩/변훈 曲/바리톤 오현명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서 돌아가리라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면은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돌아가리라 돌아가리라 돌아가리라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천상병 시인(千祥炳 1930~1993)

일본 효고현 히메지시 출생.
1955년 서울대학교 상과대 4년 중퇴.
1949년 마산중학 5학년 때,
죽순(竹筍) 11집에 시 "공상(空想)"외 1편을 추천받았고,
1952년 문예(文藝)에 "강물" "갈매기" 등을 추천받은 후
여러 문예지에 시와 평론 등을 발표했다.
1967년 7월 동베를린공작단사건에 연루되어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1971년 가을 문우들이 주선해서 내준 제1시집 "새"는
그가 소식도 없이 서울시립정신병원에 수용되었을 때,
그의 생사를 몰라 유고시집으로 발간되었다.
'문단의 순수시인이자 기인(奇人)’으로 불리던 그는
지병인 간경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주막에서", "귀천(歸天)","요놈 요놈 요 이쁜 놈" 등의
시집이 있다.

우리나라 3대 기인중의 한 사람이라 잘 알려져 있는 분이다.
천진난만함과 순진무구의 상징이 되고있는 그의 웃음..
술을 사랑했고..
시를 사랑했고..
브람스 교향곡 4 번을 사랑했고..
모과차를 사랑했고..
무엇보다 사람을 사랑했던 그....


琉璃窓(유리창)

鄭芝溶

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열없이 붙어 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다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히고

물 먹은 별리, 반짝, 寶石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운 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아아, 너는 산새처럼 날아 갔구나!

--<조선지광> 제89호 (1930. 1)

사랑하는 아들을 잃고 하염없는 부성을 불과 10행에 담은 서정시다. 이광수의 <비둘기>, 김광균의 <은수저> 등도 어린 아이를 잃고 쓴 시들인데, 그 표현 기법에서는 적지않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음을 본다.

관련자료

댓글 4

이무환님의 댓글

진심으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비오며
가슴아픈 사연 사연들 조금씩 조금씩 누그러뜨리고
준비된 그날의 ㄱ\\영광의 산제사로
위안하고 정상을 향하여 합장 축원 아주,,

조항삼님의 댓글

참척(慘慽)이 웬말입니까. 가족의 가슴을 도려내는 그 고통을
뭐로 달래야 할지 눈에 밟혀 침통한 표정으로 멍하니 하늘만
쳐다 봅니다.

생때같은 아들이 가다니 어쩌란 말입니까. 운명의 기로에서
만남이 너무도 야속합니다. 아직 피지 못한 꽃 봉우리
절규로 돌아올 수 있습니까.

쥐면 터질새라 불면 날아갈새라 금지옥엽 키운 자식을 가슴에
묻다니 대신 갈 수 있다면***
부디 영철군의 가시는 길 평탄케 하옵소서.
삼가 명복을 비나이다.

고종우님의 댓글

공감하며 쓸쓸한 맘으로 돌아서렵니다.
오늘추운 날씨에 춘천묘지의 기온이 따스한 햇볕되어 부모와 동기간의 가슴에 온기를 주었으면 합니다.
부디 하늘나라에서 못다한 꿈을 크게 펼치길 기도 합니다.

정해관님의 댓글

삼가 위 두 작품의 시를 영철군을 여윈 황광현님께 들려 드리고 싶습니다.
어떤 위로의 말도 귀에 들어올리가 있겠습니까만,
그 아픈 마음을 조금이나마 '공감'하는 내용이 될듯 싶어 찾아 보았습니다.
날씨마저 왜 이리 추운지 야속 합니다.
어서 속히 마음 추스리시어 평상심을 되 찾으시기를 기원 합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