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쥐뿔(개뿔)도 모르면서...

컨텐츠 정보

본문

쥐뿔도 모르면서


쥐뿔도 모르면서

dog35.gif mouse24.gif

옛날 어떤 마을에 어떤 남자가 살고 있었다.

그는 한가할 때면 웃방에서 새끼를 꼬았는데,
그 때 새앙쥐 한 마리가 앞에서 알짱거렸다.

그는 조그만 쥐가 귀엽기도 해서
자기가 먹던 밥이나 군것질감을 주었다.

그러자 쥐는

그 남자가 새끼를 꼴 때마다 웃방으로 왔고,

그 때마다

그 남자는 무엇인가 먹거리를 조금씩 주고는 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남자가 이웃마을에 외출을 했다가 들어오니

자기와 똑같이 생긴 남자가 안방에 앉아 있지 않은가?

그는 깜짝 놀라서 외쳤다.

"네 이 놈, 너는 누군데 내 방에 와 있는 것이냐?"

그러자 그 남자도 같이 고함을 지르는 것이 아닌가?

"너야 말로 웬 놈이냐?'

집안 식구가 모두 나왔으나
도대체 누가 진짜 주인인지 알 수가 없었다.

자식은 물론 평생을 함께 살아온 부인까지도
구별할 수 없을 만큼 둘은 똑 같았다.

어쩔 수 없이 모든 식구가 모인 상태에서
집안 사정에 대해

질문을 하고,대답을 정확하게 하는 사람을
진짜 주인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부인 이름, 아버지 제사날, 아들 생일…
둘 다 막힘이 없이 대답을 했다.

그러자 부인이 부엌의 그릇 수를 물어 보았다.

아무리 주인이라도

옛날의 남편들은 부엌 출입을 거의 하지 않았다.

부엌 살림살이는 물론

그릇이 몇 개인지 어찌 알겠는가?

진짜 주인은 대답하지 못했으나,
가짜는 그릇과 수저의 수까지 정확하게 맞추었다.

결국 진짜 주인은

식구들에게 모질게 두들겨 맞은 뒤에 쫓겨나고

가짜가 그 집의 주인이 되었다.

자신의 집에서 쫓겨난 그는

신세를 한탄하며 이곳저곳을 떠돌았다.

그러다가 어느 절에 들러서,
노승에게 자신의 처량한 처지를 하소연했다.

노승은 여차저차 사연을 들은 뒤에 이렇게 말했다.

"그 가짜는 당신이 먹거리를 준 생쥐라오.

그 놈은

당신 집에서 살면서 당신에 대한 모든 것을 파악했고,

부엌에서 밥을 훔쳐 먹다보니

부엌 살림까지 알고 있었던 것이오."

그는 노발대발하며

당장 돌아가서 그 생쥐를 때려 죽이겠다고 했다.

노승은 조용히 타일렀다.

"어림 없는 말이오.

그 놈은 당신의 손때가 묻은 밥을 얻어먹으면서

당신의 정기를 모두 섭취해서 영물이 되었소.

그렇게 쉽게 죽일 수는 없을 거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여기 내가 기른 고양이를 줄 테니

데리고 가서 여차저차 하시오."

그는 노승에게 얻은 고양이를 보따리에 감추고
자신의 집으로 들어 갔다.

대청에는 가짜 주인이

자신의 부인과 함께 담소를 나누고 있다가
소리를 질렀다.

"저 놈이 그렇게 혼나고도 또 왔단 말이냐?"

그러자 아들을 비롯한 식구들이 모두 나왔다.

그는 보따리를 풀어헤치며

고양이를 내놓고 이렇게 대꾸했다.

"오냐, 이 놈아. 이것이나 본 뒤에 떠들어라."

가짜 주인은

고양이를 보자 혼비백산하여 피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고양이가 더 빨랐다.

비호같이 덤벼들어 목을 물자
가짜 주인은 생쥐로 변해서 찍찍거렸다.

"이래도 누가 주인인지 모르겠느냐?"

그가 지금까지의 사연을 털어 놓자,
아내와 가족들은 백배 사죄하면서 잘못을 빌었다.

그 날 밤

술상을 들고 남편에게 온 아내는 고개를 들지 못했다.

남편은 껄껄 웃으면서 말했다.

"여보, 당신은 나와 그만큼 살았으면서
내X과 쥐X도 구별 못한단 말이오?"

아내는 더욱 고개를 들지 못했고,
남편은 너그럽게 용서를 해주고 잘 살았다고 한다.

위 이야기에서 X은 남자의 성기를 가리킨다.

여기에서 "쥐X도 모른다."라는 말이 생겼다.

그러나 아무리 속담이라도
남자의 성기를 입에 담기는 남사스러운 일이다.

그래서 X를 외형상 성기와 유사한 뿔로 바뀌어서

"쥐뿔도 모른다."란 속담이 된 것이다.

이 속담의 의미는

"평생을 함께 산

배우자의 몸에 대해서도 모르는 주제에

뭐가 잘 났다고 아는 척 하느냐?

즉, 당연히 알아야 할 것도 모르는 주제에

공연히 나서지 말고 가만히 있어라." 라는 뜻이다.

이 유래담은 여러 지방에서 비슷한 형태로 전해진다.

그러나 지방에 따라 쥐가 개로 바뀌기도 했다.

그로 인해 "개뿔도 모른다."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또, 쥐에게 먹거리를 준 사람이 남편이 아니라
아내로 전해지는 지방도 있다.


관련자료

댓글 4

정해관님의 댓글

☯ 채근담34. 지나친 총애는 원망으로 변한다.

사랑이란 물질적 조건 위에 세우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관심을 주는 것이다.
‘錦上添花’가 ‘雪中送炭’보다 실제적이겠는지?
-사랑이 지나치면 원수가 되고 보잘 것 없는 은혜는 오히려 기쁨을 이루는 수가 있다. 즉, 은혜를 베풀되 적재적소에 하라고 이르는 말이다.

[금상첨화]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의 글에서 유래한다.

[설중송탄](雪中送炭)
눈이 올 때 연탄을 보내 준다는 뜻으로, 즉 급히 필요(必要)할 때 필요한 도움을 준다는 의미.
[출전]《송사(宋史) 권5 태종본기(太宗本紀)》
[내용] 북송(北宋) 초, 토지 겸병을 둘러싼 귀족들의 분란이 깊어지자, 일반 백성들의 삶은 몹시 궁핍해졌다.
서기 993년, 즉 북송 태종(太宗) 조광의(趙光義) 순화(淳化) 4년 봄, 빈곤을 참지 못한 농민 왕소파(王小波)와 이순(李順) 등은 많은 농민들을 이끌고 사천(四川)에서 봉기하였다.
그 해 겨울, 여러 날 동안 눈이 내리고 날씨 또한 매우 추웠다. 조광의는 왕소파 이순 등의 농민 봉기에 두려움을 느껴 죽을 지경이었다. 그는 이렇게 추운 날씨에 다시 봉기가 일어날까 염려되어, 사람을 시켜 몇몇 외롭고 늙은 가난한 백성들에게 돈과 쌀과 땔감을 보냈다(雨雪大寒, 遣中使賜孤老貧窮人千錢米炭).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민심을 수습하려 생각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아부 잘하는 사관(史官)으로 하여금 이 일을 역사에 기록하게 하였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