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지 방 쓰는 법~~

컨텐츠 정보

본문

지방쓰는법

1. 기제(忌祭)때 가문에 따라 단설(單設 : 돌아가신 본인 한 분만을 제사 지냄)로도 지내고,

합설(合設 :돌아가신 내외분을 함께 제사 지냄)로도 지낸다.

현대에는 거의 합설로 지낸다.

2. 지방(紙榜)을 쓸 때 단설(單設)일 때는 돌아가신 분 한분만을 쓰고,

합설(合設)일 때는 돌아가신 내외분(內外分)을 함께 쓴다.

만약 전후취(前後娶)일 때는 세분을 함께 써야 한다.

이때 서고동비(西考東비 :서쪽은 고위(考位)이고 동쪽은 비위임)이므로

좌편에 남자의 신위를 쓴다.

3. 아내의 제사에는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제주(齊主)가 되고

장자(長子)의 제사에는 손자(孫子)가 있어도 아버지가 살아 계시면

아버지가 제주(齊主)가 되며,

남편의 제사일 때는 자손(自孫)이 없을때만 아내(妻)가 제주(祭主)가 된다.

4. 지방(紙傍)을 쓸 때는 관직(官職)이 있을 때는 그 품계(品階)와 관직(官職)을 쓰고,

관직이 없을 때는 남자는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

수사(秀士)또는 수재(秀才)라고 쓰며,

여자는 유인(孺人), 여사(女士)라 쓴다

~~뜻 깊은 중추절을 준비 하세요.~~

관련자료

댓글 3

물님의 댓글

축복가정들은 집사.권사.장로.훈독회장.순회사.선교사.목사.등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