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노후 행복의 열쇠는 인간관계였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노후 행복의 열쇠는 인간관계였다

신정선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2009.05.14 00:23 | 수정 : 2009.05.14 04:45

하버드대 학생 268명 72년간 인생 추적
금연·운동 등 7대 요소중 5가지 이상 갖춘 106명은
80세에도 절반이 행복

 

특정 개인의 역사를 장기적으로 추적한 '종적(縱的) 연구'의 최고봉을 보여주는 '하버드대 2학년생 268명 생애 연구'는 1937년 당시 하버드 의대 교수 알리 복(Bock)이 시동을 걸었다. 연구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백화점 재벌 W T 그랜트(Grant)의 이름을 따 '그랜트 연구'라고도 불린다.

연구는 "잘 사는 삶에 일정한 공식이 있을까"라는 기본적인 의문에서 출발했다. 연구진에는 하버드대 생리학·약학·인류학·심리학 분야의 최고 두뇌들이 동원됐다. 이들은 정기적인 인터뷰와 설문을 통해 대상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체크했다.

268명 대상자 중 절반 정도는 이미 세상을 떠났다. 남은 이들도 80대, 90대에 이르렀다. 지난 42년 간 이 연구를 진행해온 조지 베일런트(Vaillant) 교수는 대상자들의 행적이 담긴 파일을 소개하며 "기쁨과 비탄은 섬세하게 직조(織造)돼 있다"는 윌리엄 블레이크(Blake·1757~1827)의 시구를 인용했다.

최고 엘리트답게 그들의 출발은 상쾌했다. 연방상원의원에 도전한 사람이 4명이었고 대통령도 나왔다. 유명한 소설가도 있었다. 그러나 연구 시작 후 10년이 지난 1948년 즈음부터 20명이 심각한 정신 질환을 호소했다. 50세 무렵엔 약 3분의 1이 한때 정신질환을 앓았다.

행복하게 나이가 들어가는데 필요한 '행복 요소' 7가지 중, 50세에 5~6개를 갖춘 106명 중 절반이 80세에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고 있었다. '불행하고 아픈' 이들은 7.5%에 그쳤다. 반면 50세에 3개 이하를 갖춘 이들 중 80세에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3개 이하의 요소를 갖춘 사람은 그 이상을 갖춘 사람보다 80세 이전에 사망할 확률이 3배 높았다.

50세 때 콜레스테롤 수치는 장수(長壽)와 무관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콜레스테롤 수치가 중요한 시기가 있고 무시해야 할 시기가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어릴 적 성격도 장기적으로는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수줍음을 타던 어린이가 청년기에는 고전하더라도 70세에는 외향적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았다. 대학교 때의 꾸준한 운동은 그 후 삶의 신체적 건강보다는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성공적인 노후로 이끄는 열쇠는 지성이나 계급이 아니라 사회적 적성, 즉 인간관계였다. 형제·자매 관계도 중요하다. 65세에 잘 살고 있는 사람의 93%가 이전에 형제·자매와 원만하게 지낸 사람들이었다.

인간의 기억이 나이가 들어가며 왜곡되는 모습도 보여줬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이들 중 34%가 1946년에 "적군의 포탄 아래 놓여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25%는 "적군을 죽여본 적이 있다"고 밝혔다. 42년 후인 1988년 똑같은 질문을 던졌다. "포탄 아래 놓여봤다"는 답변자는 40%로 늘었고, "죽여봤다"는 답변은 14%로 줄었다. "기억은 시간이 갈수록 모험성은 첨가되고 치명적 위험성은 약화되는 쪽으로 왜곡된다"는 것이 베일런트 박사의 진단이다.

한편, 뉴욕타임스의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브룩스(Brooks)는 "이번 연구는 대작가 도스토옙스키의 상상력 속에서만 가능할 것 같은 소설 같은 삶이 현실에도 존재함을 보여준다"며, "과학의 잣대도 숨을 죽일 수밖에 없을 정도로 삶은 미묘하고 복잡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했다.

*조선일보, 2009.5.14 기사 전재

관련자료

댓글 4

이무환님의 댓글

조형!!반갑고 고맙고요 
성교수님 귀한 글월 훈독하시고
 선풀도 정성껏 보시하시고
그  정성 감축 합장축원 아주~~

이창배님의 댓글

천정과 인정을 놓고 정확히 설정을 하지않으면 안됩니다

인정으로 인간관계를 잘 맺어 행복한 사람이 무수히 많습니다

천정을 중요시하다가 인정을 소홀히하는 경우도 많잖아요

모래위에 세운 모래성이 되지않을려면 천정을 세운기반위에 인정을 세워야한다는 것

원리적으로 보면 믿음의 기대위에 실체기대를 세워야한다는 것이지요

6000년은 믿음의 기대를 세우는 기간이었다면

지금은 믿은의 기대위에 실체기대를 세우는 기간이라고 봅니다

모두 다같이 각자 가정천국을 이루어 지구상에 천국을어봅시다

 

정해관님의 댓글

"성공적인 노후로 이끄는 열쇠는 지성이나 계급이 아니라 사회적 적성, 즉 인간관계였다."

맞는 말 같기는 하나, 그것이 하버드대 출신이 아니고 보통 사람들의 통계라면 바로 실감하겠으나, 하버드 출신들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지식이나 지성이 과반수의 행복의 조건은 충족되지 않았을까요???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