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못난 소나무가 고향선산을 지킨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못난 소나무가 고향선산을 지킨다
  
  
꽃은 피어도 소리가 없고,
사내는 울어도 눈물이 없고,
 사랑은 불타도 연기가 없습니다.  
 자식들을 좋은 대학에 진학시켜서 ,
큰 아들은 현재 미국에서 대학교수를 하고 있고,
 작은 아들은 서울에서 대기업의 임원으로 있는데, 
 정작 그 어머니는 여주에서 혼자 쓸쓸히 지내고 계시는

 

   분의 얘기를 하다가 그 얘기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자식을 아주 잘 키우면 국가의 자식이 되고, 
   그 다음으로 잘 키우면 장모의 자식이 되고,   
 적당히 잘 키우면 내 자식이 된다는 얘기도 하였습니다.

웃자고 하는 얘기이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틀린 얘기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야 집에 하수도가 막혀도
“누구야? 하수도가 막혔다.

얼른 와서 해결 좀 해라.”하고
편하게 부를 수 있고,
방안의 전구를 바꿀 때도

“누구야? 얼른 와서 전구 좀 바꿔라.”하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A living ass is better than a dead docter
죽은 박사보다 살아있는 멍청이가 낫다
 
 
 

 

하수도가 막혔다고, 전구가 나갔다고,
미국에 있는 아들을 부를 수 없고
서울에 있는 아들을 부를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일년에 겨우 한두 번 볼까 말까하는 아들이 ,
 내 아들이라고 할 수가 없고,
  평생에 한두 번 볼 수 있고 사진을 통해서나
 겨우 만날 수 있는 손자들이
 내 손자라고 말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한겨울 추워져서야 소나무·잣나무가 쉬이 시들지
않음을 알게 된다
(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는 글이 있습니다.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에 나오는 말입니다.

옛 어른들도 못난 소나무가 선산을 지킨다고
가르치셨습니다.

무릎 꿇고 앉아 산을 지키는 못난 소나무.

그 못난 소나무가 부모의 산소를 지키고,
선산을 지키고,고향을 지키는 것입니다.

같은 소나무지만 토질이 좋고
비바람을 덜 받아 곧고 수려하게 자란 소나무는
사람들이 재목으로 쓰기 위해 베어가 버립니다.

또한 괴이하면서도 특이한 소나무는 분재용으로
송두리째 뽑아가 버립니다.

그러나 같은 땅이라도 척박한 곳에 뿌리를 내린
못난 소나무는 모진 고생을 하면서 자라야 합니다.

또 크게 자란다고 해도 동량이 되지 못하니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습니다.

그래서 결국 그 못난 소나무는 산에 남아 산을
지켜야 합니다.

그렇게 산을 지키는 못난 소나무는 산을 지키면서
씨를 뿌려 자손을 번성케 하고 모진 재해에도
산이 훼손되지 않도록 산을 보존합니다.

결국 잘난 소나무가 멋지게 자라서 재목이 될 수
있는 것도 못난 소나무가 산을 정성스럽게 지켜준
덕분입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이 못난 소나무를 업신 여기는
경향들이 없지 않습니다.

 
서로가 못난 소나무이면서, 너는 나를 우습게 알고,
 나는 너를 우습게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그러했지 않습니까.,
서로 힐난하고
 서로 깎아 내리고, 잘난 꼴은 못 보고. ,
 그리고는 잘난 소나무만 바라보며 그를 우러러 봅니다.
 우리 대부분은 못난 소나무입니다.
 
  우리 자식들 대부분도 못난 소나무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그 못난 소나무가 우리에게 효도하고 ,
우리의 산소를 지키고 우리의 고향을 지킬 것입니다.
그래서 도시의 교육정책도 못난 소나무에게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가져야 하는 것입니다.
 
 잘난 소나무는 잘난 소나무대로 열심히 키워야 하겠지만,
평생 동안 고향을 지키게 될 못난 소나무들을 ,
우리가 쉽게 생각하고 소외되게 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이 말은 자식이 잘되면 고마운 일이지만 자식이 평범하게
  성장하더라도 구박하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오히려 더 정성스럽게 키워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
 이 아이가 결국은 내 곁에 오래남아 막힌 하수구를 뚫어주고,
  전구를 바꿔주고, 내가 아프면 나를 업고 병원으로 달려갈
  놈이기 때문입니다. ,
못난 소나무도 함께 모이면 울창한 숲이 됩니다.
  서로 지지하고 응원하는 못난 소나무가 우리였으면 좋겠습니다.

 
 
 
비틀리어 무릎 꿇고 앉아 산을 지키는 못난 소나무!!
그 못난 소나무가 부모의 산소를 지키고, 선산을 지키고,
고향을 지킨 다는 것입니다. 같은 소나무지만 토질이 좋고
비바람을 덜 받아 곧고 수려하게 자란 소나무는 사람들이 재목으로
쓰기 위해 베어가 버리기 때문을 아신 어른의 지혜일 것입니다.
이것을 봐서 생각하는 사람에게 지혜를 가져다준다는 명철이리라
생각했습니다.
 
그러하지만, 요즈음엔 괴이하면서도 특이한 소나무는 분재용으로
 송두리째 뽑아가 버립니다. 그러나 같은 땅이라도 척박한 곳에
뿌리를 내린 못난 소나무는 모진 고생을 하면서 자라나야 합니다.
또 크게 자란다고 해도 棟梁(동량) 되지 못하니
누구도 거들떠보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결국 그 못난 소나무는 산에 남아 산을 지켜야 합니다.
그렇게 산을 지키는 못난 소나무는 산을 지키면서
씨를 뿌려 자손을 번성케 하고 모진 풍수해에도
산이 훼손되지 않도록 산을 보존합니다.
 
결국 잘난 소나무가 멋지게 자라서 재목이 될 수 있는 것도
못난 소나무가 산을 정성스럽게 지켜준 덕분임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정작 우리는 이 못난 소나무를 업신 여기는
경향들이 없지 않습니다.
 
서로가 못난 소나무이면서 .. 너는 나를, 우습게 알고,
나는 너를, 우습게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그러했지 않습니까?
서로 힐난하고, 서로 깎아 내리고, 잘난 꼴은 못 보고. 그리고는
잘난 소나무만 바라보며 그를 우러러 보았으니.. 말입니다.
우리의 대부분은 못난 소나무입니다.
우리 자식들 대부분도 못난 소나무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그 못난 소나무가 우리에게 효도하고 우리의 산소를 지키고
우리의 고향을 지킬 것입니다. 그래서 국가의 교육정책도
못난 소나무에게 더 많은 관심과 애정을 가져야 합니다.
잘난 소나무는 잘난 소나무대로 열심히 키워야 하겠지만,
평생 동안 고향을 지키게 될 .. 못난 소나무들을 우리가
쉽게 생각하고 소외되게 해서는 안 됩니다.
 
이 말은 자식이 잘되면 고마운 일이겠지만,
자식이 평범하게 성장하더라도 구박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히려 더 정성스럽게 키워야 합니다.
이런 아이가 결국 내 곁에 오래남아 막힌 하수구를 뚫어주고,
전구를 바꿔주고, 내가 아프면 나를 업고 병원으로 달려갈 놈이기
때문입니다. 못난 소나무도 함께 모이면 울창한 숲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함으로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고, 응원하는, 못난 소나무가
우리였으면 싶습니다.
 
내 가슴에도 등굽은 소나무가 있습니다
못난 아들 !
고향에 내려가 서산을 지키고
친가 외가 친목을 나눠며
내가 할 일 대신하는 그 아들 !
가슴에 등굽은 소나무 老父母 지키는
대들보 인가 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4

김명렬님의 댓글

참으로 마음에 와 닿는 내용입니다. 우리고향에도 등굽은 소나무 老父母 지키는 대들보가
바로 내주위에 있거든요 

이창배님의 댓글

존재하는 모든 것이 적재적소에 있을 때는 가치를 발휘합니다

잘났다 못났다 굽었다해도 그만의 개성진리체로 기능을 발휘할수있습니다

타락으로 흑백의 인종차별을 하지만 곡식은 검은 것이 더 좋다고 하잖아요

정해관님의 댓글

'못난 소나무' 보다는 원래의 말대로 '굽은 소나무'가 아닐가요?

그런데, 교훈적으로 못난 아들이 효도한다는 걸 모두가 알고는 있지만, 정작 거개의 부모들은 '굽은 소나무' 보다는 '곧게 자란 소나무'를 모두가 바라는 것이 부모들의 마음이 아닐까요?

 자식 한테서 효도를 바라면서 뼈꼴 빠지게 교육시키는부모는 없을 겁니다.

비록 불효하면 다소 섭섭하기는 하겠지만, 저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것이 아낌없이 주는 부모들의 마음 입니다.

어쩌면 이는 하늘부모님이나 참부모님께서도 그리 해 왔던 참사랑이라고 표현해도 과히 틀리지는 않다고 생각 합니다.

더 중요한 문제는 그렇게 곧게 자란 소나무가 왕궁의 대들보도 되고,큰 사찰의 석가래도 되어야 하는데, 잘 나가다가 가룟 유다가 되거나 이완용 류가 되어 역사의 죄인이 되는 경우라고 생각 합니다.

 요체는 그런 류를 경계해야지 부모인 나에게 불효한다고 불평할 시대는 지났다는 소견입니다.

당연히 평소 항상 존경해 마지 않는 항삼형님의 생각과 본글의 내용은 별도 임도 충분히 이해 합니다.


새 시대의 화두는 '굽은 소나무가 선산 지킨다'는 말은 맞지만, "올곧게 자라서 청와대의 석가래도 되고 천정궁의 대들보가 되기를 바랄 따름이다" 라는 겁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