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시아파와 수니파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시아파와 수니파

이슬람교가 분파의 길을 걷게 된 것은 창시자 무함마드의 후계자 선정 방식을 두고 충돌하면서다. 무함마드가 632년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세상을 뜨자 추종자들은 메카에 모여 무함마드의 친구인 아부 바크르를 후계자(칼리프)로 선택했다. 메디나의 무슬림은 이 결정을 인정하지 않았다. 무함마드의 자손만이 이슬람 지도자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가 유일한 후계자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메디나에서 알리를 추종하는 당파라는 뜻의 시아 알리를 조직했다.

 

이때부터 아부 바크르를 정통으로 여기는 수니파와 알리를 따르는 시아파의 오랜 적대관계가 시작됐다. 4대 칼리프인 알리가 661년 암살되고 680년 알리의 차남 후세인마저 반란을 일으키다 살해되면서 수니파와 시아파 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시아파는 전세계 16억 이슬람교도 중 10%가량인 소수파다. 이란과 이라크 등에서만 다수 종파다. 이란과는 달리 이라크는 시아파가 다수 종파임에도 수니파가 줄곧 정권을 잡으면서 시아파는 박해를 받았다. 수니파인 사담 후세인 정권이 2003년 미국의 침공으로 무너지면서 시아파가 집권했지만 기득권을 상실한 수니파의 저항은 끊이지 않았다. 무슬림 인구의 90%를 차지하는 수니파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시리아, 이집트, 예멘, 레바논,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대부분 이슬람 국가에서 다수 종파다.

 

이라크가 또다시 포연에 휩싸였다. 이라크 정부에 맞선 수니파 무장단체 이라크·레반트이슬람국가(ISIL)’가 수도 바그다드 턱밑까지 진격했다. 독립국가를 꿈꾸는 북부 쿠르드족까지 들썩이고 있다고 한다. 시아파 맹주를 자처하는 이란은 이라크 정부를 보호하기 위해 나섰고 시리아, 터키, 사우디아라비아도 이라크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미국의 군사개입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미국은 2003년 후세인 정권을 타도한 뒤 이라크에 자유와 민주주의를 선물하겠다고 했다. 이후 8년 남짓 이라크 개혁을 위해 병력 17만명을 주둔시키고 엄청난 비용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수니파와 시아파 분쟁으로 상황은 반대로 가고 있다. 이라크 사태가 국제전 양상으로 비화하면서 3차 이라크 전쟁으로 확대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원재연 논설위원 <세계일보>에서

관련자료

댓글 3

정해관님의 댓글

세계 5대 종교 중에서 가장 최신의 종교가 이슬람교인데, <후계문제>로 종단이 갈리어 현재와 같은 세계적 비극의 씨가 잉태했다는 사실이 우리들에게는 관심의 的이 아닐수 없다고 봅니다. 요즈음 한창 인기리에 방송되는 <삼봉 정도전>도 새나라를 개국하고 그 후계 문제 여하에 따라 오백년 왕업을 어떤 형태로 계속하느냐가 갈리게 되는 점이 흥미롭기도 합니다.

어느때 보다도 천지인참부모님의 뜻과 의지를 바르게 깨닫는 점이 요체라고 실감하게 됩니다.

이창배님의 댓글

아담 해와 천사장의 삼각관계의 불륜한 사랑이 원죄라는 사실을 밝힌 것은

원죄가 무엇인지 알아야 원죄를 벗을 수 있기에 원리의 중요성을 느낍니다

 

한 남자와 한 여자가 부부를 이루어 하나님이 원하는 가정을 이루어야했는데

삼각관계 그이상의 관계로 씨다른 형제 배다른 형제간의 갈등이 살인을 하고

수많은 역사를 이루며 흘러온 결과가 오늘의 세계를 이루지 않았을까 합니다

이비극의 역사를 우리가 책임지고 탕감짓고 후손에게 물려 주어선 안됩니다

김명렬님의 댓글

으째서 형제들이 문제가 될까 ?  참내  그러니까 가인 아벨 
때부터 삐거덕 해서 일 겁니다. 
각자 집안에서도 문제가 많이 일어나듯이 ㅠㅠㅠㅠㅠ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