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못난 나무가 산을 지킨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못난 나무가 산을 지킨다 

중국 송나라 시대 도가의 대표적 사상가인 장자莊子에게

한 선비가 찾아왔다.
이 선비는 장자를 늘 못마땅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장자의 사상이 크고 높은 줄은 알지만
이상적으로 치우쳐서 그다지 쓸모가 없다고 생각했다.



선비가 장자에게 말했다.



"선생님의 말씀은 크고 높지만

현실적으로는 쓸모가 없어 보입니다.
마치 저 앞에 있는 나무 같습니다.

저 앞의 나무는 크긴 하지만 온통 구부러지고
울퉁불퉁하여 목수들이 쳐다보지도 않거든요.

재목으로는 별로인 것 같습니다."
이 말을 듣고 장자가 대답했다.


"그럼 거꾸로 생각해 보게.
그 볼품없이 보이는 나무가 구부러지고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오히려
목수들한테 잘리지도 않고 그토록 오래 살아

큰 나무가 된 것이 아닌가?"

"그래도 쓸모가 없는 건 없는 것 아닙니까?

장자가 대답했다.

"여보시게.
왜 쓸모가 없나.

햇빛이 쨍쨍한 날

그 나무의 그늘에서 많은 사람들이

시원하게 편히 쉴 수 있지 않나.
비바람과 눈보라가 치면 막아주고,

보잘 것 없는 나무가 산을 보다 푸르게 해준다네.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들에게 무척 고마운 존재가 아닌가?

아니 그런가?"
그러자 선비는 아무 말도 못하고 물러갔다.

길가에 놓여 있는 보잘 것 없는 돌멩이 하나가
물에 놓이면 작은 물고기들의 소중한 안식처가 된다.

산비탈에 웅크리고 있는 보잘 것 없는 한 그루 나무가
장마 때에는 산사태를 막아 고귀한 존재가 되어 준다.

못난 큰 나무는 더 가지가 무성하여 더운 여름 뜨거운
햇볕에 지친 사람들에게 그늘이란 쉼터를 제공해 주고,

추운 겨울에는 오갈 데 없는 새들의 아늑한
보금자리 역할을 해 주는 빛과 같은 존재가 된다.

비탈길에 놓인 작은 돌멩이 하나가 주 . 정차시
큰 트럭이 밑으로 가는 것을 막아주는 버팀목 역할을 한다.

오늘 당장 좋은 곳에 쓰임 받지 못한다고 해서

낙심할 필요는 없다.
묵묵히 실력을 키우며 정상에 설 그 날을 위해 준비하자.
적당한 시기가 되면

가장 멋진 모습으로 능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4

이봉배님의 댓글

현실적으로 딱 들어맞는 말씀, 비유가 될런지---

공부 많이시킨 자식은 외국으로 멀리 가버리고

공부 못시킨 자식이 부모 곁에서 효도 하는 그런

사례도 많지요.

이순희님의 댓글

여자 꽁무니나 쫓아다니고 싸움박질이나 하며

동네에서 손가락질 받는 쓸데없는 젊은이가

동네에 불이 나면 맨 먼저 물양동이 들고 뛰어 나온다고 합니다. 

이무환님의 댓글

묵묵히 실적을 세우며

정상에서 승축하는 마지막 주자의

 하늘심정권을 앙축하면서

 오로지 정상을 향하여

합장 축원 아주!!

이창배님의 댓글

건축자들의 버린 돌이 모퉁이 머릿돌이 되었다 ( 마 21:42-46 )는 말처럼

잘나고 똑똑한 자들은 하늘을 몰라보니 못난자를 세울수밖에 없는 현실

얼마나 답답하실까요.  아무리 옳은 말을해도 듣지않고 무시하는 형제들

열심히 달려온 6000메타 계주달리기 마지막 테이프 앞에 머뭇거리 모습

마지막 주자의 승리는 앞주자들 모두의 승리요 실패는 모두의 실패기에

안타깝고 가슴아픈지 모릅니다. 乙矢口 節矢口 지금 이때가 아닐까요!!!!!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