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찬 시인 특강노트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황금찬 시인 특강노트]
강의 내용 : 문학의 본질
@시를 쓸 때 3가지 공익성 (독자에게 무엇을 주어야야 한다)
1. 언어의 순화 : 욕은 악마의 표현, 욕은 쓰지마라. 왜 쓰는가?
2. 시가 무엇인가? (시는 왜 쓰는가) 조건: 과연 이해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예) 여름에 등산을 하면 오랫동안 오르다보면 (물을 원한다) 이 시대가 원하는 무언가를 것을 주어라.
총이 아닌 그 시대의 요구성(충족)을 글 속에 담아라.
3 .아름다움을 써라 (마음속은 2가지
형태가 있다. 선과 악이 공존하면서 싸운다. 모든 사람은 선과 악의 기로에 서 있다.)
선으로 이끌어 가는 것. 시는 읽으면서도 나쁜 마음을 가지면 안 된다.
@시인이란? 도적질을 한사람에게 따스한 밥을 해서 먹이고, 돌아가는 길에 식구의 밥까지 챙겨 줄 사람이다.(아름답고 선한 마음)
요즘 세태는 이상한 글이 주류를 이른다. 시를 아름답게 쓰는 사람은 도둑이 될 수 없다.
@시 읽는 사람이 아름답게 읽을 수 있도록 글을 써야한다. 새로운 말에 대한 표현 (새로운 발상)
거지발상: 흔희 쓰는 시는 쓰지 마라. 남들이 많이 쓰는 시어( 예를 들자면 황금 들판 …….등)
@언어는 거르고 걸러서 써라. 꽃을 보고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름답다.
정지용: (향수) 고향의 아름다움 강조(고향에 대한 그리움)
김광균: (향수) 서러운 고향을 강조(한 떨기 국화처럼 너무 서러운 고향)
정지용과 김광균의 시는 말하고자 하는 의도가 다르다.
@시는 나쁜 것을 없애야 한다. 김소월: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등은 쓰지 않는 것이 좋다.
ㅡ시는 3가지의 공익성이 있다.
찾고(독자) 주고(작가) 가장 아름답고, 선한 최고의 시인이 되자 …….
시를 쓸 때의 언어 선택에 관해 신중 읽는 이에게 정서적인 감화를 주고 시속에 예지를 (지혜)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 황금찬 시인
1918 강원도 속초 출생
일본 다이도오 학원 중퇴
1956 <현대문학>>에 시 <여운>이 추천되어 등단
1965 시문학상 수상
1973 시집 <<오후의 한강>> 발간하여 월탄문학상 수상
1980 대한민국문학상 수상
<시단>, <청포도> 동인
관련자료
이존형님의 댓글
발명이 아닌 발견을 한 것이다.
자신의 속마음을 거짓 없이
자신의 판단과 분별을 스스럼없이
자유롭게 흘러가는 냇물처럼
한 곳의 막힘이나 주저함이 없이
냇물에 배 띄운 종이배처럼
흘러가는 냇물에 몸 맡기고
자유천지로 몸 맘을 띄어 보내는
자유로운 행동이야 말로
좋은 글을 쓰는 것처럼
좋은 글을 보는 것처럼
주와 객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좋은 글 마당이 된다는 것을
일찍이 알았더라면
좋은 글을 쓰고 보고 했을 터인데
아쉬움이 사무치는
좋은 글과 좋은 시를 쓰는 창작 법을
잘 보고 깨닫고 감사를 드리면서 복더위에 몸조심들 하세요.
정해관님의 댓글
떨어지는 작은 잎새 하나
그대가 나무라 해도
내가 내가 잎새라 해도
우리들의 사이엔
아무것도 남은 게 없어요
그대가 나무라 해도
내가 내가 잎새라 해도
좋은날엔 시인의 눈빛되어
시인의 가슴이 되어
아름다운 사연들을 태우고
또 태우고 태웠었네
뚜루루루 귓전에 맴도는
낮은 휘파람 소리
시인은 시인은 노래부른다
그 옛날의 사랑 얘기를
좋은날엔 시인의 눈빛되어
시인의 가슴이 되어
아름다운 사연들을 태우고
또 태우고 태웠었네
뚜루루루 귓전에 맴도는
낮은 휘파람 소리
시인은 시인은 노래부른다
그 옛날의 사랑 얘기를
--우리 사랑방에 위대한 시인들이 많아 행복 합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