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심우도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를 동자()나 스님이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서 묘사한 불교 선종화().
icon_con.gif본문

12세기 중엽 중국 송나라 때 확암선사()가 십우도()를 그렸다고 하며, 청거()선사가 처음 그렸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모두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는 인간의 본성에, 동자나 스님은 불도()의 수행자에 비유된다. 중국에서는 소 대신 말을 등장시킨 시마도()가,
티베트에서는 코끼리를 등장시킨 시상도()가 전해진다.

한국에는 송()나라 때 제작된 확암본과 보명()본이 전해져 두 가지가 조선시대까지 함께 그려졌는데 현재는 보명본보다 확암본이 널리 그려진다. 확암본과 보명본은 용어와 화면 형식이 달라서 확암본은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원상() 안에 그림을 그리는데 보명본은 10번째 그림에만 원상을 그린다.

확암본을 기초로 한 심우도 장면의 용어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심우():동자승이 소를 찾고 있는 장면이다. 자신의 본성을 잊고 찾아헤매는 것은 불도 수행의 입문을 일컫는다.

② 견적():동자승이 소의 발자국을 발견하고 그것을 따라간다. 수행자는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본성의 발자취를 느끼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③ 견우():동자승이 소의 뒷모습이나 소의 꼬리를 발견한다. 수행자가 사물의 근원을 보기 시작하여 견성()에 가까웠음을 뜻한다.

④ 득우():동자승이 드디어 소의 꼬리를 잡아 막 고삐를 건 모습이다. 수행자가 자신의 마음에 있는 불성()을 꿰뚫어보는 견성의 단계에 이르렀음을 뜻한다.

⑤ 목우():동자승이 소에 코뚜레를 뚫어 길들이며 끌고 가는 모습이다. 얻은 본성을 고행과 수행으로 길들여서 삼독의 때를 지우는 단계로 소도 점점 흰색으로 변화된다.

⑥ 기우귀가():흰소에 올라탄 동자승이 피리를 불며
집으로 돌아오고 있다. 더 이상 아무런 장애가 없는 자유로운 무애의 단계로 더할 나위없이 즐거운 때이다.

⑦ 망우재인():소는 없고 동자승만 앉아 있다. 소는 단지 방편일 뿐 고향에 돌아온 후에는 모두 잊어야 한다.

⑧ 인우구망():소도 사람도 실체가 없는 모두 공()임을 깨닫는다는 뜻으로 텅빈 원상만 그려져 있다.

⑨ 반본환원():강은 잔잔히 흐르고 꽃은 붉게 피어 있는 산수풍경만이 그려져 있다.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깨닫는다는 것으로 이는 우주를 아무런 번뇌 없이 참된 경지로서 바라보는 것을 뜻한다.

⑩ 입전수수:지팡이에 도포를 두른 행각승의 모습이나 목동이
포대화상()과 마주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육도중생의 골목에 들어가 손을 드리운다는 뜻으로 중생제도를 위해 속세로 나아감을 뜻한다.

보명본의 심우도는 10개의 장면이 거의 유사하나 용어가 다르다. 보명본의 용어는 ①미목(), ②초조(調), ③수제(), ④회수(), ⑤순복(), ⑥무애(), ⑦주운(), ⑧상망(), ⑨독조(), ⑩쌍민() 이다. 중국의 이숭(), 일본의 슈분[] 등의 《심우도》가 있으며 한국에는
송광사를 비롯한 사찰에 벽화로 남아 있다.

※ 고매하신 초대회장님께서 아차산(峨嵯山) 암자에서 우리가 경내(境內)를

둘러 보고 잠깐 쉬는 데 섬광(閃光) 같은 기지(機智)로 형제들에게 설법하신

말씀을 흘려 듣고 귀가하여 검색하여 부연(敷衍)했습니다.

회장님 저도 흔적을 공양하면 뭐 좀 있나요.

초콜릿이라도 주겠지.

☆ 참고 하세요.☆

☆ 참석인원 ☆

김동운 박순철 황광현 정해관 김명렬 신동윤 황의덕 이정갑 이존형

조항삼 =10명의 바보온달님들

이태임 양은숙 최양순 유노숙 = 4명의 빼어난 공주님 들.

도합=14명이 참석 했습니다.

4월에는 50명은 오시려나.

관련자료

댓글 5

정해관님의 댓글

칠성각 (무속) [七星閣]출처: 브리태니커관련태그

인간의 수명장수와 재물을 관장하는 칠성신을 모시는 사찰 전각.
칠성은 본래 도교에서 신앙하던 것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기우(祈雨)·장수·재물을 비는 민간신앙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칠성신에 대한 제사는 조정과 민간에서 계속되었으며, 이 신앙이 불교에 수용되어 사찰 안에 칠성각을 짓고 칠성신을 모시게 되었다. 칠성각은 조선시대에 나타나기 시작해 지금도 대부분의 사찰에 두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만 볼 수 있는 특유한 경우이다. 칠성각에는 칠여래(七如來)와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칠원성군(七元星君)을 탱화로 그려 봉안하고 있다.

삼성각[三聖閣]

山神. 七星. 獨聖을 함께 봉안하고 있는 사찰 당우 중 하나. 삼성은 각각 재물과 수명과 복을 관장하는 존재로서, 전통신앙인 三神信仰과의 습합현상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이 삼성각 안에 고려말의 三大聖僧인 指空. 逃翁.無學의 三聖과 칠성. 독성등을 봉안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칠성은 북두 칠성을 말하는데 별나라의 主君으로 인간의 복과 수명을 담당하고 있다. 那畔尊者라고도 불리는 독성은 十二因緣의 이치를 홀로 깨달아서 성인의 위치에 올라 말세 중생에게 복을 내린다고 한다. 또 사찰에 따라서는 독성과 산신과 용왕을 봉안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모두 불교 밖에서 유입된 신들로 下根機 중생을 위한 방편으로 채택되었기 때문에 그 건물의 이름을 殿이라 하지 않고 閣으로 일컬은 것이다. 불전의 뒤쪽에 위치하면서 우리 민족 고유 의 토속신들을 불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나반존자는 三明과 二利의 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중생들의 복을 키우는 福田이 되어 미륵불이 출현하는 龍華世界가 올 때까지 이 세상에 머물러 계신다. 우리 나라의 나한신앙은 고려시대에 구복과 외침극복을 기원하는 羅漢齊를 많이 함에 따라 이것이 점차 나한신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국토의 7할 이상이 산인 우리 나라 산신을 護法神衆의 하나로 삼아 불교를 보호하고 역할을 부여하였다. 조선중기 이후 무병장수를 위해 산신각을 자주 찾았고, 산신각 내에는 호랑이와 노인의 모습으로 묘사한 산신상을 봉안하거나 혹은 탱화로 도상화한 그림만을 모시기도 한다. 칠성 각은 壽命長壽神으로 일컬어지는 七星을 봉안한 전각으로 北斗閣이라고도 한다. 칠성각은 우리 나라 사찰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특유의 전각으로 초기 불교에는 찾아볼 수 없고, 조선시대 중기에 차츰 나타나기 시작했다. 칠성각 내에는 삼존불. 칠여래 도교의 칠성신 등이 함께 봉안된다.



이태임님의 댓글

어느마을의 어미소와 새끼송아지 그리고 토종닭
한가롭고 여유로운 한나절의 모습입니다.
심우도의 뜻 깊이 공부하였습니다.

김동운님의 댓글

항삼형이 제일 무서운 것은, 분수에 맞지 않게 저만 보시면 항상 과찬을 하시기 때문입니다.
천박한 우스개 소리도 너무 귀하게 포장해 주시니 조만간 밑천이 들통나서 실망할 때를 생각하면
도통 입맛도 없고 그저 좌불안석이 올시다.
해방의 기쁨도 주시고 좀 살살 다루어 주세요.

조항삼님의 댓글

신앙의 입문은 어느 종교라도 대동소이 하고 거의 같은 맥락으로
많은 참고가 되리라 믿습니다.

천복궁 완성섭리의 중심에서 각종단의 진수를 섭렵(涉獵) 하여야
할 때 라고 생각합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