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나의 애독서] ‘부의 미래’ (앨빈 토플러 지음)

컨텐츠 정보

본문


[나의 애독서] ‘부의 미래’ (앨빈
토플러 지음) 이용섭 국회의원


size=3> 지식정보사회에서 富 창출 근본요소
시간·공간·지식
3가지 심층기반 제시







size=3>




  •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CURSOR: hand"
    onclick=window.open(this.src) border=0 name=zb_target_resize alt="" align=right
    src="http://www.segye.com/content/image/2009/07/21/20090721001190_0.jpg"
    width=150 height=194 categoryid="2020000000000">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1980년에 발간한 ‘제3의
    물결’에서 우리 사회가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사회로 바뀔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가 예견한 지식혁명은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현실이
    되었다.

    뛰어난 미래 통찰력을 지닌 앨빈 토플러가 또 한권의 저서, ‘부의 미래’(Revolutionary Wealth,
    2006)를 통해 미래에 부(富)가 어떻게 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창출',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창출');">창출
    되고 누가 그 부를 지배할 것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
    농경시대에는 건장한 노동력이 부의 근원이었고 산업시대에는 성실과 근면이 부를 창출했다.

    토플러는 지식정보사회에서 부를
    창출하는 근본 요소로 시간, 공간, 지식이라는 3가지 심층 기반을 제시한다.

    시간은 변화의 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3대
    심층기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산업사회가 큰 것이 작은 것을 잡아먹는 ‘규모의 시대’였다면 지식정보사회는 빠른 것이 느린 것을 잡아먹는
    ‘속도의 시대’다.

    그래서 새로운 시장, 새로운 기술, 새로운 상품, 소위 블루오션을 만들고
    찾아내는 창의성과 도전정신이 없으면 지식정보사회에서는 부를 창출할 수 없다. 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특허',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특허');">특허
    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신기술',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신기술');">신기술에 의한 블루오션도 수명이 매우 짧기 때문에 계속해서 플래시
    마켓(Flash Market)을 창출해 나가야 한다.

    앞으로 이런 변화의 속도는 훨씬 더 빨라질 것이다. 개인도 기업도
    국가도 빠르게 변화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
    우리 정치권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는 것도 국민은 21세기에 살고
    있는데 20세기적 투쟁의 정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 변화하지 못하면 국민적 힘에 의해 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혁신',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혁신');">혁신
    되는 사태로 발전할 것이다.

    앨빈 토플러는
    이런 ‘속도의 충돌’이 발전의 흐름을 저해한다고 지적한다.

    공간은 부를 창출하는 장소로서, 공간의 변화와 확장을
    의미한다. 공간을 넓게 쓰는 개방적 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조직',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조직');">조직
    이 미래 부를 창출한다. 물론 개방해도 될 만한 실력과 경쟁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지금은 공간의 범위가 지구촌에서 우주로까지 확장될 수준에 이르고 있다. 토플러는 세계적 부의
    주도권이 산업화 이전 아시아에서 산업혁명 이후 유럽과 미국을 거쳐 제4의 물결인 지식혁명과 함께 다시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고 말한다.
    한반도에도 기회가 왔다는 뜻이다.

    마지막 심층기반인 지식의 경우 양은 기하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급수',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급수');">급수
    로 늘고 수명은 크게 짧아지고 있다.


    예전엔 ‘많이 아는 것이 힘’이었지만 이제는 쓸모 있는 지식을 ‘선별하고 통합하는 능력이 힘’인 시대로 바뀌었다.
    토플러는 ‘무용지식’(obsoledge, obsolete와 knowledge를 조합한 신조어)을 골라서 버리는 능력이 부 창출의 길이라고
    얘기한다.

    심층기반은 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상호',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상호');">상호
    작용한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 혁신은 시간을 단축하고 공간의 지평을
    넓힌다. 반대로 심층기반 상호간에 발전 속도가 다르면 충돌이 일어난다. 이들 심층기반은 지금도 끊임없이 서로 작동하며 변화하고 있다.


    이 3가지 심층기반의 변화를 style="COLOR: #3d46a8; CURSOR: hand; TEXT-DECORATION: underline"
    onmouseover="mouseOver(this,'선도',event);" onmouseout=mouseOut();
    onclick="mouseClick(this,'선도');">선도
    하는 사람과 조직이 미래의 부를 지배할 것이다. 이제 우리는
    적자생존(適者生存)의 시대에서 시간과 공간과 지식의 개념을 혁신하는 자가 살아남는 혁자생존(革者生存)의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2

대숲님의 댓글

이용섭 의원은 전 건설교통부장관으로 한국타임즈항공 준공식때 정부를 대표해서 성의껏 귀한 축사를 해준 의인입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