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도(四神圖)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사신도
관련이슈 : 설왕설래
고대인은 천체의 움직임에 따라 길흉화복이 정해진다고 여겼다. 그래서 하늘의 별자리 가운데 28개를 7개씩 묶고 그 별자리들을 따라가면서 푸른색 비늘이 돋은 용(청룡), 흰 털을 지닌 범(백호), 붉은색 깃이 있는 새(주작), 검은색 껍질을 가진 거북(현무) 등을 상상해냈다. 그리고 네 동물을 각각 동서남북에 배치해 4방위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간주했다. 나쁜 기운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네 동물은 사계절과도 관련이 있다. 당시에는 천문을 이해하는 열쇠였다. 사신도(四神圖)는 이 네 동물을 그린 그림이다.
사신은 음양오행설의 산물이기도 하다. 중국 한나라 때 회남왕 유안(劉安)이 펴낸 ‘회남자(淮南子)’의 천문훈(天文訓) 편에 잘 소개돼 있다. “동방은 목(木)이고 그 짐승은 창룡(蒼龍), 남방은 화(火)며 그 짐승은 주조(朱鳥), 중앙은 토(土)며 그 짐승은 황룡(黃龍), 서방은 금(金)이고 그 짐승은 백호(白虎), 북방은 수(水)이고 그 짐승은 현무(玄武)”라고 했다. 중앙의 황룡은 천제(天帝)를 가리킨다.
사신도는 우리나라 고분벽화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의 상징으로 평가된다. 독창적이고 미술적 가치가 높다. 사신도는 고구려 고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북한 남포시에 있는 강서대묘의 사신도는 우리나라 고분벽화 중 최고 걸작으로 평가된다. 고구려 미술의 기념비적인 존재라는 찬사까지 받는다. 사신도는 백제 고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신라의 고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고 한다. 백제의 왕족과 지배계급이 고구려 출신이었던 점으로 미뤄 고구려식 풍습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초기에 여흥도호부사를 지낸 노회신(盧懷愼, 1415~1456)의 원주시 동화리 석실묘에서 사신도가 발견됐다. 조선시대 사신도가 모습을 드러낸 것은 처음이다. 삼국시대 문화가 조선시대까지 계승됐음을 말해준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세종대왕 초장지 영릉도 석실묘이고 사신도를 그려 넣었다고 한다. 그러나 세조 이후에는 조선의 왕실이나 사대부 무덤 양식에서 석실묘와 함께 사신도도 사라졌다. 세조가 임종을 앞두고 무덤을 회격묘(灰隔墓)로 하라고 명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성리학의 영향력이 그만큼 커졌음을 알 수 있다.
박완규 논설위원
관련자료
댓글 5 개
정해관님의 댓글
'중앙의 황룡은 천제(天帝)를 가리킨다.' 이 말이 귀에 남아(정확히는 눈에 익어), 이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어디선가 미지의 사람이 '오방군장'인가를 올려 궁금햇는데, 관련어를 찾고 보니 다음의 내용도 있었습니다.
(우리는 궁금한 것은 참지 못하고 지나가는 성격이라...)
오방신장 [五方神將]
민속에서 동서남북과 중앙의 5방위를 지키는 신.
오방신 ·오방장군이라고도 한다. 동 ·서 ·남 ·북 ·중앙을 각각 청제(靑帝) ·백제(白帝) ·적제(赤帝) ·흑제(黑帝) ·황제(黃帝)라고 부르며, 청룡 ·주작 ·백호 ·현무 ·황룡의 동물로 나타내기도 한다.
오방을 청 ·백 ·적 ·흑 ·황의 색채로 표시하는 것은 춘 ·하 ·추 ·동의 계절과도 관계가 있고, 따라서 방위 ·색채 ·계절은 서로 일련의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무당들은 오방신장을 무신(巫神)으로 섬기며, 민간에서도 마을이나 읍락을 수호하는 역할을 가진 장승에 원용되면서 ‘오방오제축귀장군(五方五帝逐鬼將軍)’이라 불러 모신다
어디선가 미지의 사람이 '오방군장'인가를 올려 궁금햇는데, 관련어를 찾고 보니 다음의 내용도 있었습니다.
(우리는 궁금한 것은 참지 못하고 지나가는 성격이라...)
오방신장 [五方神將]
민속에서 동서남북과 중앙의 5방위를 지키는 신.
오방신 ·오방장군이라고도 한다. 동 ·서 ·남 ·북 ·중앙을 각각 청제(靑帝) ·백제(白帝) ·적제(赤帝) ·흑제(黑帝) ·황제(黃帝)라고 부르며, 청룡 ·주작 ·백호 ·현무 ·황룡의 동물로 나타내기도 한다.
오방을 청 ·백 ·적 ·흑 ·황의 색채로 표시하는 것은 춘 ·하 ·추 ·동의 계절과도 관계가 있고, 따라서 방위 ·색채 ·계절은 서로 일련의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무당들은 오방신장을 무신(巫神)으로 섬기며, 민간에서도 마을이나 읍락을 수호하는 역할을 가진 장승에 원용되면서 ‘오방오제축귀장군(五方五帝逐鬼將軍)’이라 불러 모신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