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인용

선도자의 첫 걸음--한국일보 시론에서

컨텐츠 정보

본문

눈 덮인 들판을 걸어갈 때는

하종오 문화부 부장대우 joha@hk.co.kr blog.gif
클릭하시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얼굴이 검은 외국인 스님도 목탁을 두드렸고, 나어린 동자승도 합장을 하고 있었다. '종교화합 사회통합' 등등의 수천 개 만장이 서울 도심을 뒤덮었다. 27일 열린 범불교도대회는 경찰의 조계종 총무원장 스님 과잉검문에 대한 불교계의 반발로 촉발됐지만, 그 뿌리는 훨씬 깊다. 그 뿌리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직접 닿아있다. 사상 초유의 야단법석(野壇法席)으로 열린, 그리고 다행히 평화적으로 끝난 범불교도대회의 공식 명칭이 '헌법파괴 종교차별 이명박 정부 규탄 범불교도대회'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명박 정권은 역대 어느 정권보다 노골적으로 종교적 편향성을 드러내 왔다. 말로는 국민을 섬기겠다 하지만, 종교가 없는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도 그들은 하나님을 먼저 섬기겠다는 태도를 숨기지 않는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있던 2005년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거룩한 도시인 수도 서울을 하나님께 봉헌한다'는 이른바 서울시 봉헌 발언은 이미 서울시민은 물론 국민들에게 깊숙하게 각인됐다.

이명박 정부 6개월이 만신창이가 될 수밖에 없었던 것도 당초 종교적 편향성이 큰 원인이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그리고 1기 내각을 구성할 때부터 대통령 자신이 장로로 있는 소망교회 출신 인사들을 다수 기용함으로써 학연(고려대), 지연(영남)에 종교 편향까지 겹친 '고소영 내각'이라는 부끄러운 별명을 얻어야 했다.

대통령 뿐인가.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한 술 더 떴다. 전 청와대 경호처 차장은 "모든 정부 부처 복음화가 나의 꿈"이라고 했는가 하면, "10년 내에 한국 국민의 90%가 기독교인이 되게 하겠다"고 큰소리치다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이 됐던 목사는 촛불집회 참가자들을 '사탄'에 비유하기까지 했다. 고소영 내각의 보건복지부장관은 한국사회 양극화의 원인을 신앙심이 부족한 탓이라고 돌린 글을 쓴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세 사람 다 자리에서는 물러났지만 이들의 발언은 결코 일순간의 헛소리로 지나칠 일이 아니다.

자세히 그들의 의식을 들여다보면 이건 단지 종교 편향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특정 종교에 기대서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를 편가르고, 힘 있는 자와 없는 자를 분리시키는, 차별과 배제를 선동하는, 그리고 그 모든 것을 다시 종교의 까닭으로 돌리는 비열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편가르기다.

최대 다수 국민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당연한 책무인 대통령이, 그 주변의 한 줌 권력자들이 그런 편가르기를 해서야 되겠는가. 대통령은 5년 동안이라도 자신이 기독교인이고 장로라는 것을 잊어야 한다. 한국에서 사람살이가 더 나아지고 빈부의 차이가 줄어드는 것은 종교가 아니라, 지극히 세속적인 소통과 화합의 기술에 달려 있다는 것을 자각해야 한다.

리처드 도킨스는 지구상 모든 종교의 신을 '만들어진 신'이라고 했지만, 한국의 대통령은 국민을 신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빨리 불교도들과 비기독교인들에게 사과해야 한다. 마음 속으로는 그러기 싫더라도 겉으로는 고개를 숙여야 한다.

성서에도 불경에도 좋은 말 많이 있겠지만, 우리 스님 서산대사가 지었다는 선시 한 구절이 떠오른다. 백범이 언제나 마음에 새겼다는 경구로도 유명하다. '눈 덮인 들판을 걸어갈 때는, 모름지기 그 발걸음을 어지러이 하지 말라. 오늘 나의 발자취가, 반드시 뒷사람의 길이 되리니'. 세속의 권력자는 종교의 길이 아니라 한 걸음 한 걸음 똑바로, 눈보라 퍼붓는 들판을 걸어가야 하는 자다.

관련자료

댓글 5

문정현님의 댓글

드라마 궁예가 등장할때 야단법석이라는 깊은 뜻을 알게 되었지요.
제가 아는 범위에서 종교적으로 가장 자유로운 사람은 불교신자라는
생각을 합니다.

불자만 극락간다고 하지 않으니 좋고 남의 종교비판 할 새 없이
자기 증진에 힘쓰는듯 하고.......
법도에 충실하고 픈 사람들, 이타적인 삶에도 발 벗고 나서는
님들을 뵈올때 여기가 극락이로다 싶었네요.

산채밥 !~ 공양 한 그릇 제대로 묵어보지 않았지만
기회가 되면 한복 곱게 차려 입고 절경 빼어난 산사를 둘러
보고 싶습니다.

이판기님의 댓글

어험! 2mb, ㅁㅐㅇ바기, ㅈ ㅜ ㅣ바기,와 이런 소리를 들어야하노?
이건 궁민의 불행이고, 궁민이 챙피한 일이다.
암튼 정박사님 수고가 많습니다. 염치없지만 계속 수고해 주세요~~~

정해관님의 댓글

영취산
1. 여수의 영취산
높이 510m
위치 전라남도 여수시
영취산(靈鷲山)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산이다.

키가 낮은 30에서 40년생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4월이면 약 15만평에 진달래꽃이 만개하고, 특히 산 중턱에서 정상까지 꽃으로 거의 뒤덮여 마치 산이 활활 불타오르는 듯한 장관을 연출한다.

2. 양산, 울산의 영취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원동면과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상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1,059m로, 영남 알프스에 속하며 취서산, 영축산이라고도 한다. 천화연,신불산, 간월산에 걸친 산지괴의 총칭으로 보기도 하지만 옛 문헌에는 언양현 남쪽 12리와 고을 북쪽 30리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등산에는 여러 코스가 있다. 신평에서 통도사를 지나 극락암 오른쪽으로 올라 백운암 오른쪽에서 가파른 비탈길을 올라 능선길을 따라 바위능선을 타면 정상이 나온다. 정상에 오르면 신불산, 간월산, 재약산, 천황산 등 영남 알프스 일대가 눈에 들어온다.
정상에서 통도사 쪽으로 하산(5시간 10분 소요)할 수도 있고, 억새평원을 따라 1시간 정도 산행하여 신불산까지 등산할 수도 있다(7시간 10분 소요). 배내재에서 간월산을 올라 신불산으로 해서 통도사로 하산하는, 7~8시간 걸리는 코스도 있다. 산자락에 3대 사찰 중 하나인 통도사가 자리잡고 있고, 신불산 산자락에는 홍류폭포와 작천정이 있다.

3. 인도의 영취산 [靈鷲山]
고대 인도 마가다국의 수도 라자그리하(王舍城:현재의 비하르주 라지기르) 주위에 있는 산.

원어명 Gdhrakūa
석가모니의 설법 장소로 유명하다. 기사굴산(耆闍崛山)이라고 음역하기도 한다. 법현(法顯)의 《불국기(佛國記)》, 현장(玄奬)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등에 의하면, 산정에 벽돌로 지은 설법당 흔적이 있었던 것 같다.

정해관님의 댓글

야단법석[野檀法席]
떠들썩하고 시끄러운 모습이라는 뜻. 《불교대사전》에 나오는 말이다. ‘야단(野壇)’이란 ‘야외에 세운 단’이란 뜻이고, ‘법석(法席)’은 ‘불법을 펴는 자리’라는 뜻이다. 즉, ‘야외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라는 뜻이다. 법당이 좁아 많은 사람들을 다 수용할 수 없으므로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듣고자 하는 것이다. 그만큼 말씀을 듣고자 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석가가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할 때 최대 규모의 사람이 모인 것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했을 때로 무려 3백만 명이나 모였다고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다 보니 질서가 없고 시끌벅적하고 어수선하게 된다. 이처럼 경황이 없고 시끌벅적한 상태를 가리켜 비유적으로 쓰이던 말이 일반화되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게 되었다.

정해관님의 댓글

야단법석

임철순 주필 ycs@hk.co.kr




지하철에서는 종종 성가시고 처리 곤란한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몇 번째 본 어떤 할아버지는 성경책을 들고 왔다 갔다 하면서 중얼거리듯 하나님의 은혜를 역설했다. 출입구 한가운데 서서 설교하는 아주머니도 보았다. 듣다 못한 승객이 저 만치서 "그만해요, 그만하라니까!" 하고 소리지르자 그녀는 "곧 내리겠습니다" 하더니 기어코 할 말을 다하고서야 나갔다. 앉아 있는 젊은 아가씨들에게 다가가 큰 소리로 '말씀의 세례'를 마구 퍼붓는 남자도 보았다. 고개를 숙인 아가씨들은 어쩔 줄 몰라 했는데, 그것은 말씀이 아니라 말을 토하고 게우는 행위였다.

▦ 공적 공간으로 무대를 바꾸면, 공직자들이 지위와 권력을 이용해 특정 종교를 선양하고 응원하는 것은 국민의 머리에 말을 게워내는 모욕행위와 같다. 아무리 자기 신앙이 소중하고 '이 좋은 믿음'을 널리 전파하고 싶다 해도 특정 종교에 편향된 행동을 하는 것은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헌법 위반행위다. 그런데 장로인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기독교 친화적 환경이 조성되면서 '복음화'의 행태가 문제를 빚기에 이르렀다. 꼭 그런 분위기 때문은 아니겠지만, "불교가 들어간 나라는 다 못산다"고 말한 목사도 있으니 그야말로 기함(氣陷)할 일이다.

▦ 불교측이 열거한 차별사례를 보면 정부가 어쩌면 이다지 무심할까 싶을 정도다. 27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치러진 '헌법 파괴ㆍ종교 차별 이명박 정부규탄 범불교도대회'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놀랄 만큼 질서 있고 여법(如法)하게 치러진, 그 유례없는 야단법석(野壇法席)의 자리에서 불자들은 "대한민국 정부는 선교의 도구가 아니다"라고 외치면서 대통령의 공개 사과와 경찰청장 파면 등을 요구했다. 기독교 측도 참석한 행사를 통해 불교계는 종교 간 이해와 종교의 자유의 중요성을 일깨웠고, 내부적으로는 27개 종단이 합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이제 정부가 다시 말을 해야 한다. '지나가는 말'로 얼버무리면 효과가 없다. 불교로서도 무릎 꿇은 항복만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 위정자들'을 뽑은 것이 공업(共業)이라면 고락의 과보를 함께 받는 것도 공업이다. 대회 봉행사대로 대법회가 정권과의 대결의 계기가 되면 안 된다. "종교탄압을 빌미로 꺼진 촛불집회를 되살리려 한다"고 범불교대회를 비난한 '대통령을 위한 기도시민연대(PUP)'가 맞불 놓듯 30일에 대통령과 국가를 위한 금식기도를 한다는데, 그런 것도 하지 않는 게 좋겠다. 한국불교는 그렇게 낮고 얕은 종교가 아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