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초당마님 김부용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초당(草堂)마님ㅡ 부용,김운초. 조선여류고(朝鮮女流考)

 

 

                                        芙蓉堂 金雲楚 (부용당 김운초)

                                                                              (1812? - 1861?)

 

                      

 

23169B3E537CA1D93962B4

 

                       부용 김운초는 반상의 구별이 매우 엄격했던 조선시대에 존재하던 매력적인 기생.

                       당돌하고 호기가 있는 시정(詩情)을 표출하는 감성의 시인이다.

                       조선의 여류시인들이 연약과 병적 애상의 시를 표했다면, 부용은 여장부(女丈夫)같은 시정을 읊었다.

                       그녀의 문집인 운초시(雲楚詩; 일명 芙蓉集)에는 약 150여수의 시가 전해오고 있다.

                       생몰년대는 부정확하여 김이양의 나이에서 유추해 보았다.

                      조선여류시인중 부용은 확실히 뛰어난 풍류의 멋과  절개를 지킨 찾아보기 쉽지않은 기생이었다. 

 

 

                                              1. 곡연천노야.(哭淵泉老爺)

 

                                         풍류의 기개는 호산(湖山)의 주인이요

                                 경술(經術)과 문장은 재상의 기틀이다.

                                 십오 년 정든 임은 오늘의 눈물

                                 끊어진 우리 인연 누가 다시 이어 주려나~?

 

            註 ; 불가에서 회자정리(會者定離;만나면 헤어지고~),생자필멸(生者必滅;태어나면 반드시 죽는~)이라 했던가?

                   임을 떠나보낸 애틋한 심정을 시에 담았으니~. 사연인즉~이러하다.

                   부용이 평안도 성천(成川)기생으로 있을 때 평양감사 연천(淵泉) 김이양(金履陽)을 만나 사랑을 나누다

                   마침내 소실이 된다. 그녀는 연천을 죽도록 사랑했나 보다?.

                   그가 죽은 후, 그와의 추억을 더듬으며 상사에 가까운 그리움의 시를 짓는다.

                   풍류기개는 호수와 산을 아우르고, 경륜과 문장은 재상의 재목이라고 칭송하고 있다.

                   노 정객 김이양을 그녀의 나이 열여섯에 만나, 서른에 떠나보냈으니 15년 쌓인 정이 눈물인가 하노라~·

                   해서~ 어이 이내 청춘을 누가 다시 엮어줄꼬 하고 노래한다.

                   사랑하는 노 정객을 가슴에 묻었을 뿐 아니라,

                   방안에 제단 까지 모시고 밤낮으로 사랑하던 임의 명복을 빌었다니 ~~·ㅎㅎ                   

 

                   손이 미끌미끌 하게 닳았을 게다. 하도 빌어서~·열녀여~열녀?

 

                                                                                                                     

                                2. 야속한 임.

 

                                        북관의 가을이 이 내 옷에 까지 왔으니

                                도호부 앞에 낙조는 더욱 붉은데.

                                밤마다 낭군 그리운 꿈은

                                응당 서울의 구름 속에 맴돌고 있구나.

 

                                                    

                                    그리움의 아픔을 당당하게 표현했던 초당마님 ?

                                  부용 김운초.(芙蓉 金雲楚)

 

                 1) 조선 순조12년(1812) 평안도 성천(成川) 땅, 가난한 선비의 딸로 태어났으나,

                     조실부모하고,퇴기의 양녀가 되어 기생의 길로 접어든다.

                     그녀를 세상 사람들은 조선의 3대 명기(名妓)중 한 사람이라고 칭송한다.(송도 황진이, 부안 이매창, 성천 김부용)

                     그녀는 자(字)를 운초(雲楚)라하고, 호(號)를 부용(芙蓉)이라 했으니, 부용 김운초라 부른다

                     그녀는 뛰어난 미모, 우아한 자태. 지혜로운 식견 까지 겸비한 재원에다. 지조 까지 지키는 호기(豪氣)가

                     살아 있는 인테리 여성이었으니 그 누가 그녀를 탐내지 아니할까?

 

                     미인은 시샘도 많은 법~?

                     어느 날 연꽃이 만발한 연못가에서 모든 사람들이 연꽃에 취해 자신을 몰라주는 기라~?

                     해서~· 부용의 시샘이 발동~ 그녀는 예쁘게 화장까지 하고 일부러 연못가를 거닐고 있다.

                     이에 뭇 사내들의 시선이 집중 되는 기라~ 그라고는 일필휘지하여 한 편의 시를 남긴다.

 

                                부용화 만발하여 가득 메운 연못가

                                사람들은 부용보다 예쁘다고 놀려 대누나

                                이른 아침 단장하고 제방 위를 지나는데

                                어찌하여 사람들은 부용꽃을 보지 않은가~?

 

                     어찌 당차고 도도한 여인이 아니겠는가. ㅎㅎ 쥑인다.

                     부용~ 파이팅~!  이 정도는 돼야~뭐?

 

                  2) 부용(芙蓉))의 운명적은 만남은(순조31년,1831) 이때 일어난다.

                      세월은 흘러, 부용이 기생으로써 자리를 잡을 때 쯤. 성천에 부임한 신임사또가 재색이 뛰어나고

                      용모 또한 출중한 관기 부용을 자신의 스승이요,

                      직속상관인 평양감사 연천(淵泉) 김이양(金履陽)에게 상 납 (?)하면서 세기의 사랑은 움트기 시작한다

                      그때 부용의 꽃띠 나이 16세, 김이양은 74세. 고희를 훨씬 넘긴 나이건만 어여쁜 색시 앞에는 나이는

                      숫자에 불과 한 것이라 했던가....?

                      허나, 사대부의 체면이 있지~ ^^김이양은 일단 거절하는데.....

                      이때 부용 김운초는 필살의 시 한 수를 날린다.돌직구로~

 

                       “뜻이 같고 마음이 통한다면 나이가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세상에는 삼십 객 노인이 있는가 하면, 팔십 객 청춘도 있는 법입니다.”

                       

                      그라고는 곧 바로, 58세나 연하의 영계를 맛보았으니, 이는 장작불에 휘발유 끼얹은 격이 랑께?

                      뭔 말인지 알것지유~ 하하 공주님

                      그후 부용은 기적(妓籍)에서 삭제된 후, 김이양의 첩실로 직행한다.

                      그러나 사랑이란 뜨거웠다가도 식고, 식었다가도 불붙는 것이 사랑이라.

                      또 한 편의 이별의 드라마가 전개되고 있었으니~`

                      이별이란 누구에게나 애타고 눈물겹다.  

                                  

                                                                                                             

                     연천 김이양이 호조판서가 되어 평양을 떠나므로 부용은 이별의 아픔을 맛 보는데,

                     한편 떠난 임은 소식이 없고, 인편으로 전해오는 임의 안부는 하 세월 인기라~

                     해서~

                     부용이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조선 시문학에 혁기적인 삼각형 층시(層詩)를 남긴다.

                     이름하여~그 유명한 [부용상사곡(芙蓉相思曲)]이다. 

                                           이별 하오니                     (別)

                                            그립습니다.                    (思)

                                             길이 멀고                      (路遠)

                                        글월은 더디옵니다.             (信遲)

                                        생각은 님께 있으나             (念在彼)

                                      몸은 이곳에 머뭅니다           (信留玆).

                                               (중략)

 

                     냉혈한의 사내라도 시를 보고 녹지 않으면 인간도 아닌 짐승...??

                     눈 녹듯이 사르르 젖어드는 기교하며, 철철 넘치는 애틋한 사연하며,

                     그녀의 앞에서는 어느 논객인들 사랑을 거부하리오. 그녀는 타고난 재치와 감성으로 사랑만큼,

                     시적 감각도 뛰어 났으며, 허리하학에도 소질이 있었으리라 믿는다.

                     긍께 나이는 숫자여~·복 많은 늙은이~나도 샘난다

 

                  3) 부용의 이별노래가 어찌 전해 졌는지는 모르겠으나.....?

                      김이양은 그녀를 한양으로 불러올려 남산골 중턱에 그림 같은 초가 한 칸을 선물하는데,

                      이름하야~ 녹천당(祿泉堂;복이 샘솟는 집)이다.

                      그때부터 아랫것들이 “초당(草堂)마님”으로 불렀다. 신혼의 단꿈도 세월의 할큄에 무디어져 간다.

                      꿈같은 원앙의 삶도 늙으면 가야할 길이 있는 법? 노구의 지침이 시작되던 어느 날,

                      꽃 같은 부용을 곁에 두고, 김 영감은 천수를 다하고 아쉬운 작별을 고한다.

 

                      그때 부용이 통곡을 하면서  사랑의 임을 울부짖던 노래가 앞서 소개한[곡연천노야(哭淵泉老爺)]다.

                     (부용은 평소에 김이양을 노야(老爺)라고 불렀다)

                      부용에겐 김이양이 연인이자, 지아비, 어버이며 할아버지 같은 존재(?). 의지하며 청춘을 불살라 건만,

                      야속한 세월은 그냥 두고 보지를 않는구려~~흑흑

 

                      연천이 떠난 15년 후, 그녀는 ‘대감님 곁에 묻히는 것이 소원’이라는 유언을 남기고 떠나간다.

                      그러나 문중에서는 처첩이라는 이유로 박대하여, 산 하나 넘어 외진 천안광덕산기슭에 묻어주었다고...  

                     

                      진정한 사랑도, 애달픈 사랑도 어쩜  하나의 풍류일수도 있을 것이다.

                      자연을 사랑하는 거나, 인간을 사랑하는 거나, 별반 다르지 않은 사랑의 풍류가 아닌가.

                       해서~ 세상의 모든 존재가 풍류 아닌 것이 어디 있으랴~?

 

                      지금도 천안의 그녀의 묘소에 찾아드는 이가 많다하니 그녀의 뜨거웠던 사랑의 힘을 얻고자 찾아오는

                      흠모의 사람들이 아닐런지?   세월이 아무리 흘러도 사랑의 메아리는 영원한가보다.

                      나도  그들처럼 뜨거운 사랑 한 번 하고 싶다 아이가~~~··^^ㅎㅎ

 

관련자료

댓글 1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