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iframe width="720" height="438" src="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6961A193397743B75AE3B21FA7062EFA1C02&outKey=V126e166e03f6b9a1ce7dfb30fb6c16c01479fa3ff173f16d7b78fb30fb6c16c01479" frameborder="no" scrolling="no"></iframe>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언젠가 이 나라가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것을 분명한 진실로 받아들이고, 그 진정한 의미를 신조로 살아가게 되는 날이 오리라는 꿈입니다. 언젠가는 조지아의 붉은 언덕 위에 예전에 노예였던 부모의 자식과 그 노예의 주인이었던 부모의 자식들이 형제처럼 식탁에 함께 둘러앉는 날이 오리라는 꿈입니다. 언젠가는 불의와 억압의 열기에 신음하던 저 황폐한 미시시피주가 자유와 평등의 오아시스가 될 것이라는 꿈입니다. 나의 자녀들이 피부색이 아니라 인격에 따라 평가받는 그런 나라에 살게 되는 날이 오리라는 꿈입니다."

유명한 인권운동가인 미국의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연설의 일부입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는 39살의 젊은 나이에 불의의 총에 맞고 사망하였지만 동시에 우리들 가슴 속에 자유에 대한 평등에 대한 열정에 대한 꿈을 키우도록 했던 분이죠.

 

"내가 죽거든 나를 위해 긴 장례를 할 생각을 하지 마십시오. 긴 조사(弔辭)도 하지 말아 주십시오. 또 내가 노벨상 수상자라는 것과 그 밖에 많은 상을 탄 사람이라는 것도 언급하지 마십시오. 그것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나는 그 날, 마틴 루서 킹은 다른 사람들을 위해 살려고 노력했고,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려 했으며, 전쟁에 대해 올바른 입장을 취했다는 평가를 받고 싶습니다. 또 배고픈 사람에게 먹을 것을 주고 헐벗은 사람들에게 입을 것을 주기 위해 애썼으며, 인간다움을 지키고 사랑하기 위해 몸바쳤다는 것이 기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96824일 마틴 루터 킹 목사는 고향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에버니저 교회에서 이처럼 연설했습니다. 그 연설 후 두 달 뒤 그는 암살당했습니다. 이 연설은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기라도 한 것 같은 연설이 되었습니다. 이 연설을 드럼메이저 연설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이 연설에서

"만일 여러분이 제가 드럼메이저였다고 말하고 싶다면, 정의에 헌신한 드럼메이저였다고 말하십시오. 평화에 헌신한 드럼메이저였다고 말하십시오. 그 밖의 다른 것들은 하나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저는 다만 헌신했던 삶을 남겨 두고 싶습니다. 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드럼메이저는 지도자의 직분, 소명을 뜻하는 말입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는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에게 영향을 받아 비폭력저항 운동을 펼칩니다.

 

그의 또다른 연설에 보면

 

"중요하고 대단한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인정받고 훌륭한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위대한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무엇보다도 이걸 깨달아야 합니다. 가장 위대한 이는 다른 이들을 섬기는 사람이라는 걸 말입니다. 이야말로 위대함의 새로운 기준입니다. …… 모든 사람은 위대해질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섬길 수 있으니까요. 섬기는 데는 대학 학위가 필요 없습니다.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에 관해 알 필요도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몰라도 섬길 수 있습니다. 열역학 제2법칙에 밝아야 섬길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필요한 것은 은혜로 충만한 마음, 사랑으로 움직이는 영혼입니다. 당신은, 우리 모두는 섬기는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매년 1월 셋째 주 월요일. 미국의 연방 기념일이자 공휴일, 바로 '마틴 루터 킹의 날'입니다. 2009년의 '마틴 루터 킹의 날'120,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대통령 버락 오바마의 취임 하루 전이었습니다. 이 날 오바마는 자원봉사에 동참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몽상가가 아니라 실천가이자 행동가였던 인물, 낮은 곳에서 변화를 위해,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정의와 평등을 위해 일생을 바친 인물을 기억하는 날입니다. 이러한 오늘 수백, 수천, 아니 수백만의 우리 미국인들이 바로 그 인물, 킹 목사의 뜻을 받들고 있습니다."

 

참아버님께서도 좋아하신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열정과 꿈은 지금 여전히 진행하고 있는 이상이자 열정입니다. 우리들은 지금 어떤 꿈을 꾸고 있을까요?

작게는 자기 개인적인 소망에서부터 크게는 섭리를 위하는 길에 우리들은 어떤 꿈들을 꾸면서 그 꿈의 실현을 위해 어떤 지혜와 용기와 열정이 필요한지를 생각해 보는 대망의 갑오년 신춘이기를 서원해 봅니다.

 

 

 

관련자료

댓글 2

문정현님의 댓글

1996년도 애틀랜타를 방문해서 킹 목사님이 시무하신 교회에

다녀왔습니다. -가장 위대한 사람은 섬기는 사람이다 -

이창배님의 댓글

꿈이있고 그꿈이 실체로 이루어 저야합니다

꿈이 믿음의 기대라면 이루는 것은 실체기대지요

2013년이 믿음의 기대라면 2014년부터는 실체기대가 아닐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