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여우 뒤엔 호랑이가 있었다.

컨텐츠 정보

본문

여우 뒤엔 호랑이가 있었다.

호가호위(狐假虎威) 狐(여우 호) 假(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

전국시대인 기원전 4세기 초엽, 초(楚)나라 선왕(宣王) 때의 일이다.

어느날 선왕은 위(魏:梁)나라에서 사신으로 왔다가 그의 신하가 된

강을(江乙)에게 물었다.

“위나라를 비롯한 북방 제국(諸國)이 우리 재상 소해휼(昭奚恤)을 두려워

하고 있다는데 그게 사실이오?” “그렇지 않습니다.

북방 제국이 어찌 일개 재상에 불과한 소해휼 따위를 두려워하겠습니까.

전하, 혹 ‘狐假虎威’란 말을 알고 계십니까?” “모르오.”?

“그러면 들어 보십시오.『어느날 호랑이한테 잡아먹히게 된

여우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네가 나를 잡아먹으면 너는 나를 모든 짐승의 우두머리로 정하신

천제(天帝)의 명을 어기는 것이 되어 천벌을 받게 된다.

만약 내 말을 못 믿겠다면 당장 내 뒤를 따라아 보라구.

나를 보고 달아나지 않는 짐승은 단 한 마리도 없을 테니까.’

그래서 호랑이는 여우를 따라가 보았더니 과연 여우의 말대로

만나는 짐승마다 혼비백산(魂飛魄散)하여 달아나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짐승들을 달아나게 한 것은 여우 뒤에 있는 호랑이었는데도

호랑이 자신은 그걸 전혀 깨닫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북방 제국이 두려워 하고 있는 것은 소해휼이 아니라

그 배후(背後)에 있는 초(楚)나라의 군세(軍勢),

즉 전하의 강병(强兵)입니다.

”이처럼 강을이 소해휼을 폄(貶)하는 이유는 아부(阿附)로써

영신(?臣) 간사하고 아첨하는 신하가 된 강을 에게 있어 왕족이자

명재상인 소해휼은 눈엣가시였기 때문이었다.

狐假虎威를 일러 사자의 탈을 쓴 나귀라고 하였던가.

하지만 죽은 사자의 탈을 쓴 나귀보다는 살아있는 호랑이를

꼬여 뭇 짐승들을 속인 여우 쪽이 훨씬 교활하고 가증스럽다.

여우같은 사람과 여우의 잔꾀에 속아 넘어간 눈먼 호랑이 때문에

지금 우리 사회는 전에 없이 뒤숭숭한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2

정해관님의 댓글

마지막 의견은 어느 때였는지가 궁금하군요.

요즈음 선출된 박통은 그런 호가호위(狐假虎威)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너무 신경쓰다 보니 첫 인사를 망치게 되는 부작용이 있던데 말이지요. 혹시 우리 집안 일일까요? 매우 아리송 합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