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부모님은 '무역1조달러'달성의 대한민국 은인입니다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6.000가정창원교회 우이미끼오 S&T중공업(舊:統一중공업)수석연구원산업포장수상 | ||
|
||
UPLOAD 1 ::2182.jpg (164.2 KB) | DOWN | ||
그동안 우리회사의 이름은 S&T중공업으로 바뀌었으나 최평규 회장님의 성공적 경영으로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여 2011년 무역 1조달러 달성 대한민국 은인으로 6,000가정 우이 미끼오씨가 산업포장을 수상하였습니다. 문성균 회장님이 생존해 계셨다면 얼마나 기뻐하셨을까 눈시울이 뜨거워짐을 감출길 없습니다.* *참부모님의 부르심을 받아 신앙의 조국 대한민국에 정착한 우이 미끼오씨,조국 대한민국은 이렇게 말합니다. 고맙습니다 참 부모님 ,참 부모님은 "무역 1조달러"달성의 대한민국 은인입니다* ================================================================================== 고맙습니다,당신들이 '무역1조달러'대한민국의 은인 [사진] ‘포니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 등 31명 산업훈·포장 [중앙일보] 입력 2011.12.10 01:39 D램 개발 주역, 금형 기술 명장 , 포니 자동차 디자이너…. 무역규모 1조 달러 시대를 연 31명의 ‘숨은 주역’들이 정부의 특별유공자 포상을 받는다. 12일 열리는 무역의 날 행사에서다. 사진은 왼쪽 위부터 오른쪽으로 <산업훈장>고(故) 윌리엄 존 덩컨(UASC 전 기술수석책임) 백덕현(포항제철 전 부사장) 정호균(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전 고문) 김창현(삼성전기 전무) 전영선(한국자동차문화연구소장) 고(故) 아리가 도시히코(신일본제철 전 감사역) 고재규(소닉스 상무 ) 이영규(웰크론 대표 ) 이상규(카프로 대표) 최영식(SK에너지 과장) 천경준(씨젠 회장) 황성혁(황화상사 대표) 김현수(대성엘텍 이사) 이철우(삼성물산 부사장) <옥조근정훈장>유회준(KAIST 교수) <산업포장>우이 미끼오(S&T중공업 수석연구원) 김종수(현대자동차 기장) 박상희(LG전자 상무) 김유미(삼성 SDI 전무) 원용희(기아자동차 기사) 유태열(삼성토탈 기장) 이덕완(동부제철 계장) 안학수(피케이밸브 본부장) 이도영(실리콘화일 대표) 박주암(GS칼텍스 과장보) 윤석원(두산중공업 부사장) 임재연(신한산업 부사장) 김상훈(한일맨파워 전 부사장) 최병철(미강패션 대표) 전병직(코리아나 대표) ================================================================================= MB “70년대 한국 조선업 도운 덩컨 찾아라” [중앙일보] 입력 2011.12.10 01:02 / 수정 2011.12.10 01:04 “그는 한국 조선산업이 첫발을 내딛는 데 기여했다. 한국은 그를 잊지 않고 있다.” 1977년 현대중공업이 UASC에서 수주한 선박 명명식에 참석한 윌리엄 존 덩컨(오른쪽). 악수하는 이는 당시 현대중공업 김영주 사장. 영국의 엔지니어인 덩컨은 70년대 현대중공업에서 기술자문을 맡아, 30여 척의 배를 완성하는 데 도움을 줬다. [현대중공업 제공] 최근 영국의 지역 신문인 헤럴드 스코틀랜드에는 한국 정부가 이 지역 출신의 한 선박 엔지니어의 유족을 찾고 있다는 기사가 게재됐다. 주인공은 고(故) 윌리엄 존 덩컨. 한국에서 조선산업이 태동하던 1970년대 현대중공업에서 기술자문을 담당했던 인물이다. 현지 대사관이 수소문 끝에 결국 그의 아들 앤드루 덩컨과 연락이 닿았다. 그는 12일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아버지를 대신해 금탑산업훈장을 받는다. 무역 1조 달러 달성에 기여한 특별유공자로서다. 같은 날 석탑산업훈장을 받는 황성혁 황화상사 대표이사는 현대중공업 영업팀 근무시절 덩컨과 연을 맺었다. 그는 덩컨을 ‘한국 조선산업의 은인(恩人)’이라고 불렀다. 1970년대 초 현대중공업은 중동 선박회사 UASC로부터 2만3000t급 다목적선 15척을 수주했다. 문제는 당시 한국이 만든 최대 크기의 선박이 1만7000t급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정주영 회장은 울산 조선소 ‘초짜’ 엔지니어들에게 기술을 전수할 인물로 UASC 기술책임자 덩컨을 초빙했다. 이후 덩컨은 5년여간 현대중공업에서 기술지도를 총괄하며 30여 척의 배를 완성하는 데 결정적 도움을 줬다. 황 대표는 “고집 세고 깐깐해 현장 근로자와 다투는 일이 잦았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외국인 선주를 만나면 한국 예찬론을 펼쳤다고 한다. “한국은 영국이 100년 걸려 한 일을 3~4년 만에 다 해치웠어. 이제 세계 조선은 저 친구들에게 물어봐야 해”라고 말하곤 했다는 것이다. 대형 수주를 따내는 데도 물밑에서 도움을 줬다. 1978년 쿠웨이트에서 4척의 컨테이너선 수주를 놓고 일본 업체와 경쟁할 때였다. 그는 조언을 청하려고 온 황 대표 일행과의 점심식사 자리에서 냅킨에 자신이 알아낸 경쟁사의 입찰가격을 써서 슬쩍 떨어뜨려 놓고 갔다. 당시 덩컨의 상관은 일본을 노골적으로 밀고 있는 상황이었다. 황 사장은 “어떻게 보면 해선 안 될 일이었지만 한국 조선산업에 대한 애정이 그만큼 깊었던 것”이라고 회고했다. 황 대표가 덩컨을 마지막으로 본 건 1980년 영국 런던에서였다. 그때 덩컨은 “나는 당신들에게 뭐지”라고 물었다고 한다. 이에 황 대표는 “당신은 한국 조선역사에 가장 큰 발자국을 남긴 사람의 하나로 기록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 달 뒤쯤 덩컨은 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말 그대로 무(無)에서 시작한 한국 조선산업은 현재 세계 1위 자리에 우뚝 서 있다.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을 휩쓸며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돌파하는 데도 결정적 역할을 했다. 황 대표는 “남들은 기적이라고 하지만 수많은 이들의 피와 땀으로 일군 것”이라면서 “ 한국 정부가 덩컨 같은 인물을 잊지 않고 기린다는 건 감격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무역 1조 달러를 일군 영웅’으로 12일 훈·포장을 받는 특별공로자는 모두 31명이다. 제철소 설비기술 독립을 이끈 백덕현 전 포항제철 부사장, 능동형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기술 양산을 주도한 정호균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전 고문, 현대의 첫 독자모델 승용차인 포니의 디자이너 조르제토 주지아로, 자동차 선적 전문가인 기아차 원용희 기사 등이 그들이다. 특징적인 것은 외국인이 4명이나 포함됐다는 것이다. 기업인 출신인 이명박 대통령이 한국 수출산업 발전에 크게 공헌을 한 외국인도 찾아보자는 아이디어를 냈다는 후문이다. 조민근 기자 I was very surprised and pleased to hear of the Korean Government interest in my father, although he died fairly young I have always been proud of his achievements though in fact I know few details of his work, perhaps others may know a lot more. 한국 정부가 아버지에 대해 관심을 보여줘서 놀랍고 기쁘다. 아버지께서 일찍 돌아가셔서 나는 그분의 일에 대한 기억은 별로 없지만 아마도 다른 이들은 훨씬 더 많이 알고 있을 거다. 나는 항상 그의 업적에 대해 자랑스럽게 여긴다. (앤드루 덩컨이 현대중공업에 보낸 e-메일) |
관련자료
댓글 7 개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