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막걸리 이야기~~~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김기영 목사님께서 막걸리 얘기를 올려주셔서 막걸리에 대한 옛 향수를 그리면서

실례인줄 알면서도 감히 목사님의 글 위에다가 막걸리 애찬론을 펼쳐봅니다.

그냥 부르기 쉽게 탁주, 막걸리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쬐끔 유식한 채 부르면 막걸리를 달리 母酒라고도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가슴 아픈 歷史의 한 場面이 담겨 있습니다.

朝鮮朝 光海君 5年(1613) 6月. 小北派와 大北派 間의 피비린내 나는 黨派 싸움으로

仁穆大妃의 親庭아버지 延興府院君 金悌男이 生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리고 宣祖의 繼妃 仁穆大妃는 西宮에 幽閉되고 親庭어머니는 濟州道에 流配됐습니다.

하루아침에 流配人 身分으로 내몰린 府夫人을 奉養하기 爲해 侍女는 술지게미를 再湯한

막걸리를 내다 팔았습니다.

그 所聞이 돌자 地域 住民들이 줄을 서서 사 마시기 시작했습니다.

나중에 府夫人이 復權된 뒤 그곳 사람들은 府夫人을 기려 그 막걸리를 母酒라고 불렀으니,

國母의 술’이란 뜻이라고 주당들의 사전에 기록되어있습니다.

流配간 府夫人의 生計를 이어주기도 한 막걸리는 다섯 가지 德, 卽 ‘五德’으로 禮讚

받기도하고, 虛飢를 免하게 해주니 一德이요, 醉氣를 甚하지 않게 하니 二德이며,

추위를 덜어 주니 三德이되며. 게다가 일꾼들이 힘들지 않게 일하라고 氣運을 북돋워 주고,

勇氣가 없어 平素에 못하던 말을 하게 하여 意思를 疏通시켜 주니

四德과 五德이라고 합니다.

特히 ‘잘살기 運動’ 새마을 운동을 벌이던 時節의 막걸리는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을 넉넉하게 해주었으니 어찌 한낱 사탄의 음료수 술로만 볼 수가 있을까요.

새마을運動이 한창이던 1970年代, 農事일이 閑暇한 겨울철을 利用해 마을 안길을 넓히고 農路를 擴張하는 일은

마을의 共同 作業이었습니다.

家家戶戶 한두 사람씩 나와

리어카가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닦는 作業을 힘들지 않게 할 수 있었던 背景에도 막걸리의 힘이 있었으니

우리나라의 근대화 발전상에서 일등공신이 막걸리라 아니 할 수가 있겠습니까요.

釀造場에서 配達해온 두말들이 술桶을 둘러싸고 동네 친구들과 둘러서서 한盞씩 기울이든 옛날이 아련하고

내 천일국만세를 부르면서 우리나라의 전통 母酒를 시원하게 한잔 들이킬 그 날이

속히 오기를 고대하면서 막걸리의 애찬론을 펼쳐봅니다.

그렇다고 저를 주당으로 보지 마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지금은 아예 밀밭 근처도 못가는 알콜 도수 제로입니다.

막걸리야말로 ‘五德’의 힘을 제대로 보여주는 귀한 물이라고 생각하시고,

아직은 때가 이르니, 때가 이르면 숨겨두었던 본색을 마음껏 펼쳐보시길 권장합니다.

只今 막걸리 人氣가 可謂 天井不知입니다.

經濟가 어려워서인지, 釀造 技術이 좋아져 많이 마셔도 頭痛이 없어서인지

동네 슈퍼에서는 너도나도 막걸리를 찾는 사람이 많이 생겨나고, 需要者가 늘면 供給者도 늘게 마련.

食堂과 동네 가게뿐 아니라 百貨店에서도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좋은 막걸리는 단맛과 떫은맛에다 신맛과 쓴맛이 調和를 이루고,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나는 막걸리가 일품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그리하여 생 막걸리에다가 각가지 기능성 막걸리가 줄줄이로 시판되고

그 막걸리가 ‘低炭素 親環境賞’을 받는다니 五德에다 德을 하나 더 보태 六德이 되어서

천일국의 전통 음료수로 추천하면 어떤 사람들 끙끙되면서 사탄이라고

술 사발 던지시려나요.

후후후 윗글을 보시고 그래 네 글 한번 잘 썼다라고 아이구 시원해 하시면서

꼬불쳐두신 쌈지 돈으로 동네슈퍼 문지방 닳게 넘나드시는 분은 아마 아니

계시리라 믿으면서, 큰물에서 노시는 아무개씨는 얼씨구나 좋다 하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춘삼월 꽃 잔치 나들이에서 愛酒家들이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비록 알코올 度數 낮은 막걸리라도, 그 德이 여섯 가지 아니라 열 가지라도

몸은 過飮을 싫어한다는 事實을 잊으시면 큰 화를 자초하는 것이니

아무튼 눈으로만 맛보시고 취기는 옆지기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온누리 만인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취하시기를 빌어봅니다.

관련자료

댓글 5

진혜숙님의 댓글

한국에 막걸리는 六德을 갖추고 게다가 떫은 맛 쓴맛 그리고 신맛과 단맛시원한 맛
감칠 맛이 있어서 五腸을 이롭게 하는 母酒는 대단한 건강음료이자 기능성 식품이군요.

일부러 먹지는 못해도 과실 쥬스를 좋아하니 한번 쯤 구해서 먹고 싶네요
이 존형 장로님 우수한 막걸리에 대해서 깊이 있게 올려주시니

made in korea 막걸리 화이팅입니다.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유노숙님의 댓글

근데 마시고 나면 냄새가 좀 안좋습니다 옆사람에게도~~~
집에서 마시는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 막걸리 한잔이 요쿠르트 백개 먹는것과 같다고 하길래
저도 가끔 마셔봅니다만 체질에 안맞아서 그리 기분은 안좋더군요.

문정현님의 댓글

이동 막걸리 !~
유명세는 현해탄을 넘어선지 오래된
이야기 입니다.
선전 문구에 반함인지 진짜로 맛이 있다고
느끼는건지 모르겠지만...

친근감이 느껴지는 이름이여~ 母酒 너무
고상한 이름을 붙여주셨습니다.

정해관님의 댓글

저를 아는 주위 분들은 제가 이 대목에서 침묵하면 좀 이상하게 생각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요즈음 '한류' 바람이 가이 섭리의 중심국 답게 널리 다양하게 불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 입니다.
처음에는 동남아에서 드라마(동의보감)로 시작하더니, 아이돌 그룹의 음악으로 쓰나미화 되더니만,
지금은 음식(김치. 비빔밥. 막걸리 등)으로 세계화 되는 느낌 입니다.

대단히 죄송한 인용일지 몰라도, 역사의 한 때 청파동에서 거창한 막걸리 파티가 있었는데, 당시 심정이 가장 좋다고 해도 부족함이 없으실 높은 가정의 형님께서 '선생님께서 허락하시면 그 뜻에 따라 많이 마시는 것이(적극 호응하는 것) 孝의 길일터...'라고 생각하고, 대책도 없이 호응하다가 정신을 놓았다는 웃지못할 한 장면이 '기록'으로 남아 있음을 우연히 본 적이 있습니다.

예찬까지는 아니더라도 앞서의 김목사님께서 처럼, '막걸리 권하는 내외 환경'이라면, '비교적 웰빙음식'인 우리 고유 곡차를 음용함에 너무 눈총을 줄 필요까지야 없지 않나 그리 생각 합니다.
또 母酒라는 그런 의미있는 뜻이 있었음을 깨닫게 해 주신 존경하는 존형님의 글에 작지 않게 공감합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