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어느 축의금 이야기

컨텐츠 정보

본문

어느 축의금 이야기



축의금 그 뜻은 무엇인가

자기의 위세인가 깊은 마음의 우정인가

축의금의 이야기를--


십년전

아들 결혼식때 친구가 축의금으로 백 만원을 했다.

그때는 친구가 퍽도 고마워

콧등이 시려오는걸 겨우 감정을 눌렀다


친구에게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살았다.


그런데 몇일전 친구로부터 아들 결혼 청첩장을 받았다.

웬지 기쁜 마음보다 걱정이 앞섰다.


하루 하루 살기에도 빠듯한 삶이기에

어떻게 축의금을 챙길가하는 걱정이 앞섰다.


마누라와 상의를 한결과 일수돈을 내서라도

축의금을 해야한다고 했다.


축의금이란 축하로

주는 돈이기 이전에 상부 상조 한다는뜻이란다.


일수얻은 돈으로 후련한 마음으로 결혼식장에 갔다.


친구는 악수를 하면서 연신 와 줘서 고맙다고 했다

바쁜틈에도 안부까지 물어줬다--


정말 아내와 나는 일수돈을 얻어서라도 빚을

갚게 된것이 참 잘했다고 했다.


그런데 며칠후 집으로 등기우편이 배달 되었고

발신인이 며칠전 친구에게서 온것이라 웬 인삿장을

등기로 보낼가 뜯어 봤더니 눈익은 친구의 글이었다

이 사람아!

내 자네 형편 다 아는데 무슨 축의금을-


축의금이 뭐냐고 우정 맺힌 나무람이었다

평소에도 자네 살림 어려운것 아는데 이게 무슨짓인가


자네 우정을 돈으로 사려고 했느냐는 나무람이--

그리고 구십구만원의 수표를 보내왔다


이사람아 나는 자네 친구야

어려운 자네 형편에

백만원이 무슨 소리냐--

만원이면 족하네--


여기 구십구만원 보내니 그리 알게

이돈을 안받는 다면 자네를 친구로 생각지 않겠네--


그리고 아들 결혼식에 참석해줘서 고맙다는 말과

한가한 틈이 나면

옛날 그 포장마차에서 참새고기에

소주 한잔 하자는

말을 곁드렸다. 웬지 이번에는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우정어린 축의금 때문인지... (END)

(이 글은 신아일보 사장이 설날인사에 글과 함께 나에게 보낸글입니다. 의미가 있다고 사료되어 홈에 올립니다)

관련자료

댓글 9

박순철님의 댓글

금년 2월에만 애경사가 10건 이상 발생했는데 모두다 안갈 수 없지요.
부조 봉투는 확실히 챙깁니다.
이옥용회장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따뜻한 사랑도 당연히 담아 갑니다.
상부상조, 십시일반.

문정현님의 댓글

축복받은 2세들 !~ 딱히 피로연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이곳의 실정은 서로 챙길일도 없고
고민할 일도 없는게 다반사입니다.

축복결혼식장에서 예식을 올렸고 부모친지, 이웃
모아서 2세가정의 출발을 알리는 예식이 낯설기도
하지요.

댓글속에 존형님의 가정에 장녀 공주님이 이번에
축복받으신다네요. 우와~ 딥따로 축하합니다.
걱정하나 들어셨네요. 박수 !!~~~ 행복하이세 !~

신재숙님의 댓글

이 회장님 좋은글 올려 주셔서 감동 받았습니다. 그러기에
아버지는 보물이고 형제는 위안이고
친구는 보물도 되고 위안도 된다고 하지 않았을까요 ?
저는 그런 친구가 되지 못함이 부끄러워 집니다 .
오늘 홈에 들어 왔다가 교훈하나 얻고 갑니다 . 감사합니다.

.

이존형님의 댓글

아이거 정말로 감사하고 고맙고 좋은 내용입니다.
마땅히 축하의 의미를 부가한 마음의 징표이지,머이 잘 산다는 자랑도 아니며
더욱이 허세가 되어서는 안되겠지요.
옛날 농촌에서는 잔치때가되면 온 동네 아줌마들이 모여서 부침게부치고 나물다듬고
몸으로 이웃의 기쁨을 함께나누든 그 시절은 전당포에서 잠자고 있나봅니다.

저는 지난 1월 중순까지 새해들어와서 내 생애에 처음으로 7번의 애경사를 다녔습니다.
그도 2번은 인사도 드리지 못하였구요.

초청장을 받어면 함께 즐겁게 축하내지 애도를 표하는 마음이어야 하는데
당신이왔으니 나도가야한다.
내가 갔으니 당신도 와야한다.
이제는 이런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한다고 판단되어집니다.

결국엔 내가 얼마를 받았던가를 생각해보고 나의 분에 넘치는 과분한 사고를
저지르지 않으면 도리가 아닌듯 하여서 일수돈이라도 얻어서 사고를 치게됩니다.
과연 진정한 축하나 애도가 아님을 생각합니다.

그렇지만 혹 머지않아서 이존형이가 세금고지서를 발부하면 지체없이
적금을 깨어서라도 많이넣어서 이웃 사촌까지 소문내시어 전세버스라도
대절하시어 차고넘치도록 찾아주시길 이자리에서 당부드립니데잉~~~~

다음에 제가 축하나 애도를 드릴 일이 생기면 기도하나는 열심히 보태드리겠습니다.

특히나 회장님들,사장님들,위원님들께서는 직함에 걸 맞게 좀 두둑하게
보시를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우리집 큰 딸이 축복을 받는데 벌써부터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고지서는 몇장을 발부하나, 세금징수를 몇몇이서 하나,아예 운동장에서 하나,
그리고 인사로 접대는 걍 잔치국수로 때워도 될까?
아이거 머리 복잡하여집니다.
누구 좋은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이거 내리쓰다보니 본글보다 댓글이 더 길어젔습니다.
장사를 좀 할려다가 이래 돼었습니데잉~~~ 이해들 하시리라 믿습니다.

정해관님의 댓글

☯ 채근담45. 知慧의 限界
자신을 지나치게 믿지 말라.
걷는 자 위에 뛰는 자 있고,
뛰는 자 위에 나는 자 있다.
범사에 세심하며 주의해야만 착오나 재해발생의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우리들도 그런 바람직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면 좋겠습니다)

조항삼님의 댓글

정말로 심금을 울리는 글입니다.
의식문화의 제도의 사회적인 통념을 초월한다는 것이 너무나 아름답군요.

우정을 돈으로 환산하다는 자체가 차원 낮은 급수겠죠.
관포지교에 비견되는 우정을 보니 진실로 행복해 보입니다.

김동운님의 댓글

아무데서나 읽으면 읽는 맛이, 씹으면 씹는 맛이 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나도 이런 친구가 있었으면, 우리들 사이에도 이런 멋이 더러 더러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랫만에 글다운 글 읽게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인규님의 댓글

축의금 문화의 명암인 것 같습니다.
기록 장부를 보고 한 것 만큼 한다는 보편적인 상식에서 못벗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때로는 관례대로 할 수도 없고 안 할수도 없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돈으로 축하하는 문화가 변할지는 모르겠지만 서로서로 부담주지 않는 축의금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랍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