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북관대첩비 소개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4141800가정 천승지회에서 황성수 회장의 인도로 청와대 그리고 경복궁 관내 일부를 탐방했습니다. 집합장소는 경복궁역 5번출구 고궁박물관 뒤에 은행나무 밑이었습니다. 그곳에서 동쪽 방향 경복궁 관내를 배경으로 보이는 외롭게 서 있는 돌비가 있어서 확인해보니 거창하게도 이수(螭首) 밑에 제액(題額)하여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가 전서(篆書)로 음각되어있었습니다.

북관대첩비에 대하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소개한 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북관대첩비 건립과 일본 반출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는 임진왜란 당시 함경북도 북평사였던 정문부 장군이 의병을 규합하여 왜군을 격퇴한 전공(북관대첩)을 기리기 위해 1707(숙종 34)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리(현 김책시 임명동)에 건립된 기념비이다. ()의 내용은 임진왜란 때 조선 육군의 대승전 기록이다. 이 비가 , 어떻게 일본으로 가게 되었는가?’ 살펴보면, 북관대첩비가 세워지고 200년 후인 1905년 러일 전쟁 중에 일본군 미요시 중장이 이 비를 일본의 치욕적인 역사라 하여 강탈해가는 비극이 일어났다. 강탈 후 조선에 패배한 굴욕을 씻겠다는 명목 아래 야스쿠니 신사에 비를 보관하게 된 것이다.

 

2. 북관대첩비 반환운동

1909년 당시 일본 유학생이었던 조소앙(趙素昻) 선생이 우연히 북관대첩비를 발견하여, 비를 가져온 일본을 꾸짖는 글을 기고하면서 북관대첩비의 소재가 밝혀지게 되었다. 이후 1978년 한국연구원장 최서면(崔書勉) 선생이 그 기고문을 보고 야스쿠니 신사에서 다시 비를 찾아내면서 북관대첩비의 한국 반환 요구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해주 정씨 문중에서는 한일친선협회를 통해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 측에 처음으로 비 반환을 요청하였고, 1979년 한국 정부의 비 반환 공식 요청에 일본 정부는 원소재지인 북한과의 합의가 있으면 반환하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그 후 계속된 반환 요청에도 일본 정부는 북한과의 합의가 필요하며 당시 점유자였던 야스쿠니 신사에 강제 반환을 요구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 반환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민간차원의 지속적인 반환 노력으로 20053월 남측의 한일불교복지협회(초산스님)와 북측의 조선불교도연맹(박태화) 간의 비 반환에 관한 남북합의서가 체결되었고, 같은 해 6월 한일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가 반환에 합의하였다. 20051020일 일본으로 반출된 지 100년 만에 비가 돌아와 일반에게 공개되었으니 오랜 노력으로 이루어진 결실인 셈이다.

 

3. 북관대첩비 반환 및 복원

필자를 포함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20057월 비의 현황과 해체, 이송방법 등을 강구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였다. 깔끔하게 정돈된 야스쿠니 신사에 들어서니 어딘가 있을 북관대첩비를 처음 마주할 설렘에 긴장됐다. 그러나 습하고 구석진 그늘의 허름한 보호각 아래 천덕꾸러기처럼 놓여있던 북관대첩비를 보고 씁쓸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나무가 우거져 통풍도 제대로 안 되는 한쪽에 덩그러니 놓여있는 북관대첩비는 벌 받는 것처럼 무겁고 조악하기 짝이 없는 머릿돌을 지고 있었다.

 

한국으로 옮겨진 비는 먼저 암석 조사, 오염물 분석 등 과학적 조사를 통해 오염물 세척, 균열 부분 수술 등 보존처리가 이루어졌고, 실측작업을 통해 복원도 실시되었다. 야스쿠니 신사에서부터 이고있던 핍박의 역사인 1,000가량의 머릿돌을 벗어던지고, 북관대첩비 조성 당시와 유사한 시기에 조성된 해남 명량대첩비(鳴梁大捷碑, 보물 제503, 1688)와 강진 백련사사적비(白蓮寺事蹟碑, 보물 제 1396, 1681) 등의 머릿돌을 참고하여 복원안이 제시되었다. 여러 학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거쳐 화강암으로 정성껏 조각하여 북관대첩비에 새로운 머릿돌을 올렸다.

 

20051020, 국립중앙박물관 앞마당에서 환국 고유제를 지내고 1028일부터 116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1층 로비에 머릿돌이 복원되고 보존 처리가 된 북관대첩비가 조립되어 전시되었다. 그렇게 전시되어 있던 북관대첩비는 200631, 북한 개성으로 이관되어 인도 인수식을 가졌다. 2006323일 북한 함경북도 김책시 임명동에 복원된 북관대첩비는 현재 북한 제193호 국보유적으로 등록되어 역사적 가치를 되찾았다고 한다.

2006213일 남북 간에 북관대첩비 북한 환송에 관한 협의를 가져, 31일 개성에서 인도하기로 했다. 2006220일 북관대첩비 환송 고유제가 경복궁에서 개최되었으며, 228일 북관대첩비의 주인공이기도 한 정문부의 묘소가 있는 의정부시에서 충의공 제향 의식이 행해졌다.

 

우리나라에는 독립기념관, 고궁발물관, 진주 가호서원, 의정부 묘소 네곳에 복제비를 세워 북관대첩 정신을 기리고 있다고 하니 경복궁에 외롭게 서 있는 대첩비는 이 4개 복제비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아래 원문은 최창대선생의 곤륜집(崑崙集) 17권 비()에서 가져왔고 번역은 노산 이은상 선생께서 했다고 합니다. 본문 이해를 위하여 단락 단락을 구분하여 정리했습니다.

                                                            2023415일 정리자 최종만


아래 pdf 파일을 열면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