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청 춘 (靑 春)
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 마음가짐을 뜻하나니,
장밋빛 볼, 붉은 입술, 부드러운 무릎이 아니라
풍부한 상상력과 왕성한 감수성과 의지력,
그리고 인생의 깊은 샘에서 솟아나는 심선함을 뜻하니,
청춘이란 두려움을 물리치는 용기,
안이함을 뿌리치는 모험심일세,
탁월한 정신력, 때로는 스므살 청년보다 예순살이 더 청춘일 수 있네.
누구나 세월만으로 늙어가지 않고 이상을 잃어버릴 때 늙어 가나니.
세월은 피부의 주름을 늘리지만,
열정을 가진 마음을 시들게 하진 못 하지.
근심과 두려움, 자신감을 잃는 것이
우리 기백을 죽이고 마음을 시들게 하네.
그대가 젊어 있는 한, 예순이건 열 여섯이건 가슴 속에는
경이로움을 향한 동경과 아이처럼 왕성한 탐구심과,
인생에서 기쁨을 얻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법.
그대와 나의 가슴 속에는 이심전심의 안테나가 있어,
사람들과 신으로부터 아름다움과
희망, 기쁨, 용기, 힘의 영감을 받는 한,
언제까지나 청춘일 수 있네.
영감이 끊기고 정신이 냉소의 눈(雪)에 덮이고
비탄의 얼음 (氷)에 갇힐 때,
그대는 스므 살 이라도 늙은이가 되네.
그러나 머리를 높이 들고 희망의 물결을 붙잡는 한,
그대는 여든살이어도 늘 푸른 청춘이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80세 이상 인구가 95만명이라 한다. 내년이면 100만 명이 넘어선다는 예측이다.
이제 60~70세는 노인축에도 끼지 못하는 고령화 시대가 도래 되었다. 2050년이면 65세 이상 인구가38%로 늘어날 거란다. 이제 老人이라는 용어부터 재정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60세 전후로 은퇴하여 4~5년 대충 자녀에 의지하다 저세상으로 떠나던 시대가 아니다.
노인이라는 어감은 쓸모없는 존재, 누군가 먹여 살려야 하는 존재라는 느낌을 주므로 가치중립적인 호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 되고 있다. 정년 이후의 삶을 제2의 생이라 하고. 80 이후의 삶을 제3의 인생이라 한다. 요즘은 제3의 생을 준비하는 어르신들의 이야기가 화두로 자리잡는다. 소비적 위치만이 아니라 생산활동을 하며 제3의 수확기로 바뀌는 분위기다. 건강과 피부미용에 적극적이며, 봉사와 여가활동,못다한 배움과 사랑을 논하는 어르신들의 모습이 노을처럼 아름답다. 사무엘 울만도 <청춘>이라는 이 詩를 78세에 발표했다지 않는가!
관련자료
조항삼님의 댓글
장소입니다.
지나는 나그네도 부담 없이 참석할 수 있는 정거장인 셈이지요.
범부에서 성자에 이르기까지 세상사는 이야기에서부터 고담준론에
준하는 폭 넓은 문화의 집합소입니다.
시쳇말로 "아침마당"이라고 칭함이 어떨까요. 다양한 층의 격의 없는
테마에 매력에 빠지겠지요.
사랑방에 오시면 왕년의 화려한 경력도 근엄한 폼도 다 내려 놓으시고
화기애애한 참사랑만 환영을 받습니다.
문이 활짝 열려 있으니까 하시라도 오셔서 행복지수를 높여 보세요.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