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남기기
페이지 정보
본문
免敎虛作百年人(면교허작백년인) : 어찌 이 인생이 헛되겠는가.
<讀書(독서)> - 서경덕(徐敬德)
讀書當日志經綸(독서당일지경륜) : 글을 읽을 때 큰 뜻을 품으니
歲暮還甘顔氏貧(세모환감안씨빈) : 가난의 쓰라림도 달게 받아진다.
富貴有爭難下手(부귀유쟁난하수) : 부귀에 내가 어찌 손을 댈 것인가
林泉無禁可安身(임천무금가안신) : 산과 물에 포근히 안기고 싶다.
採山釣水堪充腹(채산조수감충복) : 나물 캐고 고기를 낚아서 그런대로 살면서
詠月吟風足暢神(영월음풍족창신) : 달을 읊고 바람을 쏘이면서 정신을 씻어 본다.
學到不疑知快活(학도불의지쾌활) : 내 학문이 이치를 깨달아 즐겁기만 하니
免敎虛作百年人(면교허작백년인) : 어찌 이 인생이 헛되겠는가.
<讀書(독서)> - 서경덕(徐敬德)
讀書當日志經綸(독서당일지경륜) : 글을 읽을 때 큰 뜻을 품으니
歲暮還甘顔氏貧(세모환감안씨빈) : 가난의 쓰라림도 달게 받아진다.
富貴有爭難下手(부귀유쟁난하수) : 부귀에 내가 어찌 손을 댈 것인가
林泉無禁可安身(임천무금가안신) : 산과 물에 포근히 안기고 싶다.
採山釣水堪充腹(채산조수감충복) : 나물 캐고 고기를 낚아서 그런대로 살면서
詠月吟風足暢神(영월음풍족창신) : 달을 읊고 바람을 쏘이면서 정신을 씻어 본다.
學到不疑知快活(학도불의지쾌활) : 내 학문이 이치를 깨달아 즐겁기만 하니
免敎虛作百年人(면교허작백년인) : 어찌 이 인생이 헛되겠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