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적남기기
페이지 정보
본문
야설(野雪)
穿 雪 野 中 去 (천 설 야 중 거)
不 須 胡 亂 行 (불 수 호 란 행)
今 朝 我 行 跡 (금 조 아 행 적)
遂 爲 後 人 程 (수 위 후 인 정)
눈 길 뚫고 들길을 걸어 갈 때
모름지기 함부로 걷지 말라
오늘 아침 내가 남긴 이 발자국은
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
위의 작품은 이양연[李亮淵, 1771~1853]이라는 선비의 작품이다.
이양연의 본관은 전주, 자는 진숙, 호는 임연이다.
문장에 뛰어나고 성리학에 정통하였으며, 늙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고,
문장이 전아간고(典雅簡古)하여 후학들이 다투어 암송하였으며,
사대부로서 농민들의 참상을 아파하는 민요시를 많이 지었다.
문제는 이 작품과 서산대사의 답설(踏雪)을 비교해 보면
3군데의 글자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다.
이양연의 작품은 지금도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는 본인의 개인문집인
임연당집[臨淵堂集]과 장지연이 편찬한 대동시선[大東詩選]에 수록되어 있는데,
서산대사의 답설(踏雪)은 개인문집인 청허집[淸虛集]에 수록되어 있지 않지만,
책을 발간한 뒤에 시를 창작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서산대사는 이양연보다 150년전 사람이다.
한때 이 작품은 백범 김구선생이 휘호로 남겼기 때문에 김구선생이 작자라고 하기도 했다.
그래서 진정한 작자가 누구인가 밝히는 것은 아직은 자료가 부족하다고 본다.
우리는 다만 조상님들의 아름다운 문향(文香)을 즐기고,
그 속에 담겨 있는 깊은 의미를 가슴에 새기면서
오늘의 우리의 발걸음에 귀감이 된다면,
그것으로 충분히 가르침에 보답한 것이 될 것이다.
穿 雪 野 中 去 (천 설 야 중 거)
不 須 胡 亂 行 (불 수 호 란 행)
今 朝 我 行 跡 (금 조 아 행 적)
遂 爲 後 人 程 (수 위 후 인 정)
눈 길 뚫고 들길을 걸어 갈 때
모름지기 함부로 걷지 말라
오늘 아침 내가 남긴 이 발자국은
반드시 뒷사람의 이정표가 되리니.
위의 작품은 이양연[李亮淵, 1771~1853]이라는 선비의 작품이다.
이양연의 본관은 전주, 자는 진숙, 호는 임연이다.
문장에 뛰어나고 성리학에 정통하였으며, 늙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고,
문장이 전아간고(典雅簡古)하여 후학들이 다투어 암송하였으며,
사대부로서 농민들의 참상을 아파하는 민요시를 많이 지었다.
문제는 이 작품과 서산대사의 답설(踏雪)을 비교해 보면
3군데의 글자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다.
이양연의 작품은 지금도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는 본인의 개인문집인
임연당집[臨淵堂集]과 장지연이 편찬한 대동시선[大東詩選]에 수록되어 있는데,
서산대사의 답설(踏雪)은 개인문집인 청허집[淸虛集]에 수록되어 있지 않지만,
책을 발간한 뒤에 시를 창작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서산대사는 이양연보다 150년전 사람이다.
한때 이 작품은 백범 김구선생이 휘호로 남겼기 때문에 김구선생이 작자라고 하기도 했다.
그래서 진정한 작자가 누구인가 밝히는 것은 아직은 자료가 부족하다고 본다.
우리는 다만 조상님들의 아름다운 문향(文香)을 즐기고,
그 속에 담겨 있는 깊은 의미를 가슴에 새기면서
오늘의 우리의 발걸음에 귀감이 된다면,
그것으로 충분히 가르침에 보답한 것이 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