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초대글] 분류

♣中國名詩10. 游東田(유동전)....謝眺(사조 ; 字 玄暉)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中國名詩10. 游東田(유동전)....謝眺(사조 ; 字 玄暉)

戚戚苦無悰(척척고무종), 携手共行樂(휴수공행락).

尋雲陟累榭(심운척루사), 隨山望菌閣(수산망균각).

遠樹曖阡阡(원수애천천), 生煙紛漠漠(생연분막막).

魚戱新荷動(어희신하동), 鳥散餘花落(조산여화락).

不對芳春酒(대불방춘주), 還望靑山郭(환망청산곽).

 

* 陟累榭척루사; 높은 정자에 오르다. ""은 오르다. "루사"는 중첩된 정자. 즉 높은 정자.

曖阡阡(애천천);초목이 무성하여 어둑하게 보인다.

[동전에서 노닐다]

근심스럽기만 할 뿐 아무런 즐거움 없음이 괴로워,

친구의 손을 이끌어 함께 즐겁게 노닌다.

구름을 찾아 높은 정자에 오르고,

산을 따라서 화려한 누각을 바라본다.

멀리 나무들은 어슴푸레 무성하고,

안개 피어 어지러이 넓게 퍼지고 있다.

물고기 장난에 새로 돋은 연잎 흔들리고,

새가 흩으지니 남은 꽃이 떨어진다.

향기로운 봄 술을 대하지 않고,

머리 돌려 청산에 가까운 성곽쪽을 바라본다.

 

 

1. 感想 ; 이 시는 시인이 친구와 함께 동전에서 노닐면서 바라본 경치를 묘사한 것이다. 시인은 청신하고 유려한 필치로 산수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잘 묘사해 내고 있다. 중간의 경치를 묘사한 구절은 이 시를 씀에 있어 많은 정련(精練)을 하였음을 보여준다. 한 편의 수목화와 같은 이 묘사는 매우 생동감 있는 구도를 갖추고 있다. '원수(遠樹)' 2구는 먼 경치를 묘사한 것인데 비해 '어희(魚戱)' 2구는 가까운 경치를 묘사한 것이다. '遠樹' 2구는 작은경치를 묘사한 것인 동시에 움직임이 있는 동적인 세계이다.

 

2. 謝眺(사조) :자는 현휘(玄暉)이고, 진부(陳部) 양하(陽夏, 하남성) 사람으로 사령운(謝靈運)의 일족이다. 남조 제()나라 때 중서랑(中書郞). 상서전중랑(尙書殿中郞). 이부랑(吏部郞)을 지냈고, 또 선성태수(宣城太守)를 지낸 적이 있으므로 사선성(謝宣城)이라 칭한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아하여 미명(美名)이 있었고, 소사(小謝)라 불리울만큼 사령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의 시는 청신하고 유려하며, 현리(玄理)나 회삽(晦澁)한 면이 없다. 심약(沈約)" 200년이래 이러한 시는 없었다"고 격찬하였으며, 이백(李白)" 봉래(蓬萊)의 문장과 건안(建安)의 풍골(風骨) 중간에 사조(謝眺)가 맑게 뛰어났다 "고 했다. 그의 시는 선성에 재임 당시 2년 동안에 쓰여 졌으며, 대부분의 산수시는 자연계가 지니고 있는 극치의 미를 섬세하고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 작품집으로는 <사선성집(謝宣城集)>이 있다.

 

 

 

관련자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