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광장
회원논단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인터넷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
아래에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6가지를 열거하였습니다.
참조 바랍니다.

1. 요/오

“꼭 답장 주십시요.”, “수고하십시요” 이런 말들은
모두 마지막의 “요”를 “오”로 바꿔 써야 맞습니다.
반면, “꼭 답장 주세요”, “수고 하세요”에서는 “요”가 맞는데,
세상만사가 그렇듯이 원리를 따지면 복잡하니 간단히 암기합시다.
말의 마지막에 “-시요”를 적을 일이 있을 때는 꼭 “-시오”로 바꿔 씁시다.

2. 데로/대로

“부탁하는 데로 해 주었다”, “시키는 데로 했을 뿐”은 틀린 말입니다.
“데로”를 “대로”로 고쳐야 맞습니다.
그러나 모든 “데로”가 다 틀리는 것은 아닙니다.
“조용한 데로 가서 얘기하자”의 경우는 “데로”가 맞습니다.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장소를 나타내는, 즉 “곳”으로 바꿔 말이 되는 곳은 “데로”,
이외의 경우에는 “대로”로 씁니다.

3. 음/슴

언젠가부터 모든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뀌었습니다.
그러자 응용력이 뛰어난 많은 분들이 이 원리를 적용해
“밥을 먹었음”을 “밥을 먹었슴”으로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실로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슴”, “가슴”등의 명사 말고 말 끝이 “슴”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으니,
말 끝을 “음”으로 바꿔 말이 되면 무조건 “음”으로 적읍시다.

4. 으로/므로

많이 틀리면서 외우기도 상당히 어려운 고난도 기술입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꼭 연마해 두시기 바랍니다.
일단 맞게 적은 예를 봅시다.
“부재중이므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 “때문에”의 뜻일 때는 “므로”
“편지를 보냄으로 대신한다.” → “-는 것으로”의 뜻일 때는 “ㅁ+으로”

따라서 “바쁨으로 깜박 잊었다”라든지, “혼잡함으로 후문을 이용해 주십시오”는
다 “므로”로 바꿔써야 합니다.
이 둘을 확실히 구별하는 방법은,
“때문에”로 바꾸어 말이 되는지 보는 것입니다.
된다면 무조건 “므로”로 적어야 맞습니다.

• 추가정보 :
• “그러므로” → “그렇기 때문에”
• “그럼으로” → “그러는 것으로”
• “이을 하므로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하기 때문에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함으로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하는 것으로 보람을 느낀다”

• 5. 되다/돼다

우리말에 “돼다”는 없습니다.
“돼”는 “되어”를 줄인 말이므로,
풀어보면 “되어다”가 되므로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됐다”는 “되었다”이므로 맞는 말입니다.
흔히 틀리는 경우가 “돼다”, “돼어”등이 있는데,
감별하는 방법은 일단 “돼”라고 적으려 시도를 하면서,
“되어”로 바꾸어 보면 됩니다.

“됐습니다” → “되었습니다”
“안 돼” -→ “안 되어”
(늘 줄여놓는 말만 써서 좀 이상해 보이지만 원형 대로 쓰면 이렇습니다.)
“ㄷ습니다” → “되었습니다”가 말이 되므로 “돼”로 고쳐야 하는 말.
“다 돼어 갑니다” → “다 되어어 갑니다” ×
“안 돼어” → “안 되어므로”
우리말에서
'잘 되니?', '되는 데로 해!', '다 됐으면, 일어나자.'
이런 식으로 되와 돼를 구별해서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
하지만, 그 구별이 녹녹하지만은 않다.
이럴때의 해결법. '하'와 '해'
되와 대 대신에, 하를 넣어서 말이되면 '되', 해를 넣어서 말이되면 '돼'로 표기하면 된다.
즉, 잘 하니?와 잘 해니?로 해보면 하가 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되'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6. 안/않

부정을 나타낼 때 앞에 붙이는 “안”은 “아니”의 줄임말입니다.
따라서 “안 먹다”, “안 졸다”가 맞는 말입니다.
역시 부정을 나타내는 “않”은 “아니하-”의 줄임말입니다.
이 말은 앞말이 “무엇무엇하지”가 오고,
그 다음에 붙어서 부정을 나태냅니다.

“안 보다” → “아니 보다”
“안 가다” → “아니 가다”
“보지 않다” → “보지 아니하다”
“가지 않다” → “가지 아니하다”

“않 보다” → “아니하- 보다” ×
“않 먹다” → “아니하- 먹다” ×
“뛰지 안다” → “뛰지 아니” ×
“먹지 안다” → “먹지 아니” ×

이것을 외우려면, 부정하고 싶은 말 앞에서는 “안”,
뒤에서는 “않”으로 생각하면 좋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9

이존형님의 댓글

어어..독수리타법은 나의 것인줄로만 알았는데 동지가 계시는군요.
글세요 우리말 우리글이긴헌데 뛰어쓰기 맞춤법 뭐이 이런거이 여러가지가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 또 우리말 우리글인 것을 피할 수가 없군요.
조항삼 성님께서 지적을 잘하여 주셨군요.
가끔 그리곤 자주 많이 틀리더라도 우리말의 구수한 표현으로 생각하시고
가끔 한번씩 잘못되어진 곳을 정곡으로 콕콕 찔러주이소예.

이봉배님의 댓글

네! 좋은공부 많이 했습니다.항상님! 항상 바른 마음으로 바르게 쓰고
바르게 말하고 바르게 행동 하려고 노력 하다보면 바른사람 되는거 맞능교?

대숲님의 댓글

가장 문제는 남북한 언어가 이질화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한글에 대한 주체의식은 북한이 훨씬 앞섰지요. 유럽의 불란서가 영어를 사용하지 않고 자국의 언어를 존중시 하듯이 남한 사람들도 그럴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런 점에서 저는 북한말의 일부를 생활속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노크"가 아닌 "손기척", 얼마나 좋습니까?

정해관님의 댓글

훌륭한 지적 이십니다. 그런데 말이나 문법은 고정불변이 아니고 시대가 흐름에 따라 변할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도 기억해야 되리라 생각 합니다.
그런것 때문에 그 많은 성경학자들이 생겼고, 어문학자들의 밥벌이가 가능하다는 해석이 되기도 할 것입니다. 제 말은 그래서 틀려도 좋다는 것이 아니고, 너무 문법에 신경쓰거나 표준어에 유념하다보면 자유스러운 표현에 제약이 될 수도 잇어 그 자체를 너무 따지지는 말았으면 좋겠다는 의미 입니다. 앞의 '잇어'처럼 받침의 ㅆ이 잘 되지 않고 ㅅ으로 잘 넘어 가듯이 말씀이지요...
하나 더 덧붙이면 요즘 아이들의 휴대폰 문자나 체팅할 때 문법과는 관계없이 줄여서 표현하는 그 말도 , 말과 글로서 인정해야 하는 현실일 것 입니다.(이런 댓글도 대단히 조심스러워 집니다. 항삼 형님은 그냥 이해 하실거죠?)

대숲님의 댓글

시리즈로 계속 해주세요. 원리강론에 마지막 장이 세계언어가 한국어로 통일된다고 결론을 맺었는데, 한국사람이 한글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지요.

parksinja님의 댓글

아~ 머리아포..요!
1번~6번까지 읽어 내려 왔는데..
벌써..다 까먹었시유~~~~
조항삼님..좋은 공부했고요~
매일 한번씩 읽다보면 머리속에 들어오겠지요?

金 明烈님의 댓글

훈장님 잘알겠습니다. 그런데 독수리타법으로 좀빨리 두드리다 보면
이상하게 쓰여질 때가 있어요. 이해하실거지요 ?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