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인간관계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어떤 맹인이 스승에게 밤 늦도록 가르침을 받다가
집을 나서자 스승은 맹인에게 등불을 들려
주면서 조심해서 가라고 당부했습니다.
맹인은 어이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맹인에게
등불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스승에게 물었습니다.
그러자 스승은 "자네는 보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이 자네가 든 등불을 보고 피해
갈 것이 아닌가 ? " 하고 일러 주었습니다.
그래서 맹인은 스승의 깊은 마음에 감복하면서
등불을 들고 자기 집으로 향했습니다.
한참 길을 가다가 맹인은 어떤 사람과 심하게
충돌하였습니다. 맹인의 손에는 등은 들려
있었지만 불이 꺼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관계 안에서 존재하고 살아갑니다.
우리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 윗 사람과 아랫
사람의 관계, 형제자매와의 관계, 이웃과
이웃과의 관계 안에서 살아 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유지하지 못할 때
우리는 소외를 맛 보고 외로움을 느끼며 때로는
불화를 일으키고 불행을 자초합니다.
이야기 속에서 스승은 타인을 먼저
생각함으로써 자신을 지키는 지혜의
등불을 맹인에게 들려 주었습니다.
그러나 맹인은 그 등불을 보존하지 못했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맹인과 충돌한 사람은 비록 눈은
뜨고 있었지만 무질서한 인관관계 속에서
등불을 마련하는 여유와 지혜가 모자랐던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행복한 인간관계, 즉 바람직한 인간관계란
인격적인 관계라야 하며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할 때 이루어 지는 것입니다.
선인장처럼 자기보호를 위한 가시를 곤두세우고
타인의 삶을 지켜 보기만 한다면 우리는 사람들의
사회 속에서 언제까지나 이방인으로 머물게 될
것이며 더군다나 서로를 감싸 안는 따스한
관계를 유지할 수가 없습니다.
원만한 인간관계, 바람직한 인간관계는마음에서
우러 나오는 상호존중에 그 바탕을 두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자신보다는 타인을 위한 등불을
들고 살아가므로써 바람직한 인간관계 안에서
우리의 삶을 정립해야 하지않나 생각해 봅니다!
관련자료
정해관님의 댓글
가끔 자기소신이 뛰어난 사람은 (리더십도 있는 지도자 급이 보통) '愚衆은 나를 따르라'하며 소신을 굽히지 않을때, 화합보다는 분쟁이 나기 마련 입니다.
나잇살이 들어가면서 모서리는 부드럽게 되고, '화평케 하는 자에게 복이 내리므로' 역지사지의 마음을 갖는다면, 글쓴이의 뜻대로 원만하고 바람직한 인간관계가 이루어질 것 입니다.
말이 쉽지, 태생적으로 자기위주의 사고를 하게 되는 범인들이 '남을 먼저 생각하고' '타인을 위한 등불을 밝힌다'는 것은 쉽지 아니합니다.
아쉬운대로 '남도 배려하는 것이 결국 자기의 이익이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되는 날, 사회에는 화평이 세계에는 평화가 도래하리라 생각 합니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